![]() |
우남위키는 자유민주주의, 공정한 세계시장 그리고 북한해방을 지향합니다. |
진실, 공정, 인간 존엄성을 위한 파수꾼 (真実、公正、人間の尊厳のための番人, a watchman for truth, fairness, and human dignity.)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부국강병 박정희와 경제성장을 이끈 전두환, 노태우, 이명박, 박근혜 그리고 반국가 세럭과 부정선거 카르텔을 밝히려 했던 윤석열 대통령, 이들은 대한민국의 진정한 영웅입니다. |
한자: 諸侯
개요
고대 동아시아의 봉건제에서 황제나 왕에 속하지 않는 독자적인 영토를 중앙정부의 간접적인 통치를 받으며 지배하는 그곳의 우두머리를 의미한다.
귀족으로 볼 수 있으며 주로 왕족과 혈연적으로 가까운 이들이 제후가 되었다.
주나라가 같은 고대시대에는 교통이나 행정이 발달하지 않아 직접통치 영역은 매우 좁았다.
그래서 친인척들을 제후로 삼아 지배하게 했는데, 이 친인척들이 세월이 지나면 주나라와의 인척관계 등이 갈수록 멀어지고, 주나라 자체가 수도가 이민족에게 털려서 천도를 하고, 자기 내 나라는 제대로 꾸려가지 못하니 제후국 관리는 더더욱 할수 없는 지경에 이르고, 주나라의 권위가 떨어지면서 춘추전국시대가 열린다.
양자강 이남에 초나라 같은 경우는 아예 주나라에서 임명하지도 않은 주나라 질서 밖에 있는 오랑캐 취급받는 나라였다.
조선은 중국의 제후국임을 자처했다. 조선왕의 통치 권위는 중국의 황제로부터 왔다. 조공을 받치고 책봉을 받는 시스템이었다.
나라의 국호도 중국이 정하는 식으로 했고
(정도전 같은 경우는 고구려 신라 백제, 고려 등은 중국에 승인 받지 않고 스스로 나라이름을 칭했다며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고,
오로지 조선만이 중국에서 이름을 정해준 정통성 있는 나라라고 자처했다.)
, 옷인 용포나 국새에 해당하는 도장 등도 중국에서 하사받아 가져왔다.
세종 같은 경우 당시 명나라 황제에게 지극 사대를 했는데, 명나라 황제로부터 참으로 효성이 지극하다 라는 소리까지 들었다.
이건 어찌보면 사대부에게 내가 명나라 황제에게 잘하고 인정받듯이 네들도 잘하라는 식의 메세지도 주는 측면도 있다.
세종 자체가 조선시스템 중 상당수 정비한 왕으로 사대주의도 확립 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