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윤영 李允榮 / Lee Yoon-young | |||||||||||||||||||||||||||||||||||||||||||||||||||||||||||||||||||||||
|
|||||||||||||||||||||||||||||||||||||||||||||||||||||||||||||||||||||||
개인 정보[1] |
|||||||||||||||||||||||||||||||||||||||||||||||||||||||||||||||||||||||
본명 |
호 백사(白史) |
||||||||||||||||||||||||||||||||||||||||||||||||||||||||||||||||||||||
출생 |
|||||||||||||||||||||||||||||||||||||||||||||||||||||||||||||||||||||||
사망 |
1975년 10월 15일 (85세)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자택 (노환) |
||||||||||||||||||||||||||||||||||||||||||||||||||||||||||||||||||||||
주소지 |
평안북도 영변군 (現 평안북도 녕변군) |
||||||||||||||||||||||||||||||||||||||||||||||||||||||||||||||||||||||
본관 |
|||||||||||||||||||||||||||||||||||||||||||||||||||||||||||||||||||||||
국적 |
|||||||||||||||||||||||||||||||||||||||||||||||||||||||||||||||||||||||
정당 |
국민의당 |
||||||||||||||||||||||||||||||||||||||||||||||||||||||||||||||||||||||
경력 |
평양 남산현교회 목사 조선민주당 최고위원 조선민주당 국회의원 대한민국 국무총리 서리 국민의당 최고위원 사회부장관 |
||||||||||||||||||||||||||||||||||||||||||||||||||||||||||||||||||||||
학력 |
평양 숭실사범학교 |
||||||||||||||||||||||||||||||||||||||||||||||||||||||||||||||||||||||
부모 |
아버지 이용필(李龍弼) |
||||||||||||||||||||||||||||||||||||||||||||||||||||||||||||||||||||||
배우자 |
이마대 |
||||||||||||||||||||||||||||||||||||||||||||||||||||||||||||||||||||||
자녀 |
슬하 2남 6녀 |
||||||||||||||||||||||||||||||||||||||||||||||||||||||||||||||||||||||
종교 |
유교(성리학) → 개신교(감리회) |
이윤영(李允榮, 호 백사(白史), 1890년 8월 19일 ~ 1975년 10월 15일)은 교육자이자 기독교 감리교 목사이며,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과 초대 내각의 무임소장관을 지낸 정치인이다.
일제 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이며 창씨개명을 반대하였으며 3.1운동을 주도하였다. 해방 직후 평양에서 평안남도 건국준비위원회 지방부장이 되었고, 소련군 진주 후 개편된 평안남도 인민정치위원회에서 인사부장을 지냈다. 1946년 1월 5일 위원장 조만식이 연금된 직후 2월에 월남하였다.
이승만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졌으며 여러 차례 국무총리 임명동의안을 요청하였으나 국회에서 부결되었다.
생애
빈문단 입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약력
빈문단 입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경력
국무총리 서리 | ||||
(초대) | ← | 1948년 7월 22일 ~ 1948년 7월 31일 | → | 이범석 |
국무총리 서리 | ||||
이범석 | ← | 1950년 4월 3일 ~ 1948년 4월 6일 | → | 신성모 (서리) |
국무총리 서리 | ||||
허정 (서리) |
← | 1952년 4월 24일 ~ 1952년 5월 5일 | → | 장택상 |
국무총리 서리 | ||||
장택상 | ← | 1952년 10월 5일 ~ 1952년 10월 17일 | → | 백두진(서리) 이갑성(임시) (전시 공동) |
초대 무임소 장관 (이청천과 공동) | ||||
(초대) | ← | 1948년 7월 31일 ~ 1948년 9월 27일 | → | 이윤영,허정 |
제2대
무임소 장관 (윤영선, 허정과 공동) | ||||
이청천,이윤영 | ← | 1948년 9월 28일 ~ 1952년 7월 22일 | → | 박현숙 |
제2대 사회부 장관 | ||||
전진한 | ← | 1948년 12월 24일 ~ 1950년 11월 23일 | → | 허정 |
국회의원(종로구 갑) 조선민주당 → 무소속 → 조선민주당 | ||||
(초대) | ← | 1948년 5월 31일 ~ 1950년 5월 30일 | → | 박순천(종로구 갑) 오화영(종로구 을) |
참고 자료
- 이윤영(李允榮, 1890~197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이윤영(李允榮, 1890~1975) 위키백과
- 이윤영(李允榮) : 한국근현대인물자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제1공화국 (1948 ~ 1960) |
|
제2공화국 (1960 ~ 1963) |
|
제3공화국 (1963 ~ 1972) |
|
제4공화국 (1972 ~ 1981) |
|
제5공화국 (1981 ~ 1988) |
|
노태우 정부 (1988 ~ 1993) |
|
김영삼 정부 (1993 ~ 1998) |
|
김대중 정부 (1998 ~ 2003) |
|
노무현 정부 (2003 ~ 2008) |
|
이명박 정부 (2008 ~ 2013) |
|
박근혜 정부 (2013 ~ 2017) |
|
문재인 정부 (2017 ~ 2022) |
|
윤석열 정부 (202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