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협상(南北協商)은 북한에서는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全朝鮮諸政黨社會團體代表者連席會議)라 부르며, 1948년 남한의 5.10 총선거 직전인 4월 말 남한 단독 정부 수립을 반대하는 김구, 김규식 등 2~3백명이 북한을 방문하여 북측 인사들과 남북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협상을 벌인 것을 말한다. 많은 사람들이 예견한대로 협상은 실패로 돌아가고, 이로 인해 남한에 여론 분열과 갈등만 초래했으므로 방북한 사람들은 소련과 북한에 이용당한 것이다.
개요
- 남북협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 남북협상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 위키백과
- 주익종, 남북협상이 아니라 '남북협상' 공작 이승만TV 2021. 9. 27.
- 北은 5·10 총선 저지하려 '남북정당·단체 연석회의'… 소련이 의제부터 南측 인사에 대한 대우까지 지시 조선일보 2018.05.14
- 孫世一의 비교 評傳 (99) 한국 민족주의의 두 類型 - 李承晩과 金九 : “38線을 베고 自殺이라도 하겠다!” 월간조선 2012년 7월호
- 孫世一의 비교 評傳 (102) 한국 민족주의의 두 類型 - 李承晩과 金九 : “좋은 時計 속처럼 돌아가는 政府 만들 터” 월간조선 2012년 10월호
협상단 방북 당시의 사정
남북협상이 거론되던 시점에 제주도에서는 5.10총선을 방해할 목적으로 공산주의자들이 4.3폭동을 일으켜 진행되고 있었고 다수의 희생자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는 비상시국임에도 불구하고 방북해서 공산주의자들과 협상을 벌여 건설적인 합의를 기대한다는 것 자체가 현실을 도외시한 순진한 발상으로, 지도자라는 사람들이 무책임해 보이기까지 하다.
더구나 김구, 김규식 등 평양에 간 남한 인사들이 김일성, 김두봉 등과 함께 남북협상을 한창 벌이던 바로 그 시점인 1948년 4월 24일 모스크바 교외에 있는 스탈린 별장에서는 스탈린, 몰로토프(1890~1986), 즈다노프(1896~1948)가 참석한 가운데 북한의 헌법을 결정했으며, 이 자리에는 북한 요인은 한 사람도 참석하지 않았다.[1]
같은 때 모스크바에서는 북한 단독 정권 수립을 위한 헌법을 결정하고 있었다는 것은 남북협상 자체가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논의 목적이 아니라 이를 통해 남한의 5.10 총선거를 방해할 목적이었다는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김구 등 남한 방북단은 소련과 김일성의 계략에 이용 당하고 놀아난 것이다.
양김씨 방북 이전 북한 상황
양김씨의 방북 이전에 남한의 언론은 북한이 이미 단독정부 수립을 위해 취한 중요한 조치들을 보도하고 있었다. 이런 신문 기사를 보고도 협상을 통해 통일 정부 수립이 가능할 것이라고 믿고 방북을 강행한 사람들이 딱하다.
- 蘇領導下傀儡政府(소영도하괴뢰정부) 人民共和國宣布(인민공화국선포) 1948.02.18 동아일보 1면
- 北朝鮮發表臨時憲法草案, 第四次人民會議서 決定, 制定委員會書記長名議로 發表 新民日報 1948.02.29 2면
- 第五章 地方主權機關(二面에서 繼續) 新民日報 1948.02.29 4면
- 北朝鮮傀儡政府(북조선괴뢰정부)의 臨時憲法草案(임시헌법초안) (1) 1948.02.20 동아일보 1면
- 北朝鮮傀儡政府(북조선괴뢰정부)의 臨時憲法草案(임시헌법초안) (2) 1948.02.21 동아일보 2면
아래 문건들은 김구 일행이 남북협상차 방북하려던 시기에 스탈린은 북한 단독의 정부수립에 대한 지침을 이미 내려보냈다는 것을 보여준다.
- 스탈린이 김일성에게 보낸 지령문 (이승만 기념관)
- 1948년 4월 12일자 문건. "김일성 동무에게 보내는 충고"
- 1948년 4월 24일자 문건. "조선의 헌법문제에 대하여"
이후 남한의 협상파들이 방북하여 남북협상을 진행하고 있던 기간에 북조선인민위원회는 헌법을 채택하기에 이른다. 협상에 의한 남북단일정부수립은 애초에 북측의 안중에도 없었고, 남한이 5.10 총선으로 국회를 구성하기도 이전에 북한은 단독의 정부를 수립을 위한 헌법을 제정했다.
- "인공(人共)" 헌법채택(憲法採擇) 북조선인위(北朝鮮人委)서 지난 29일(廿九日)에 1948.05.03 경향신문 1면
- 인공국(人共國)의 헌법(憲法) 1948.05.03 조선일보 1면
김일성의 해방 1주년 기념사에서 남한 적화통일 의지 표명
1946년 8월 15일 해방 1주년 기념사에서 북조선임시인민위원장이었던 김일성은 이승만, 김구등 남한의 정치인들과 미군정을 비방하면서 남한 적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공개적으로 표명하였다. 소련과 김일성은 처음부터 북한에 공산정권이 확고하게 수립되면 이어 남한까지 적화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 드러난다. 이처럼 소련군정이나 김일성은 애초에 남북협상을 통해 통일정부를 수립한다는 의사는 전혀 없었고, 북한의 이런 분위기를 김구나 김규식도 방북하기 전에 어느 정도 알고 있었을 것이다. 1950년 6.25 남침은 이런 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방북한 남북협상론자들은 남한에 혼란을 조성하겠다는 저들의 음모에 이용당한 것이다.
- 민주조선 자주독립의 길, 김일성 장군 중요 논문집, (북조선로동당중앙본부 선전선동부, 1947)
- 八.一五 一週年을 記念하면서 朝鮮同胞에게 告함 : p.28
양김씨 방북에 대한 평양 주민들의 반응
1948년 4월 25일 월남한 북로당원 유재민(柳在敏)은 기자회견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2]
- 南北(남북)의 對话(대화) <12> 老革命家(노혁명가)들의 꿈과 좌절 (12) 北韓同胞(북한동포)들의 걱정 1971.10.28 동아일보 4면
그러나 정작 회의결과가 失望(실망)만을 안겨주게 되자 공산당을 싫어하는 인사들은 더 이상 北韓(북한)에서 참고 견딜수 없다고 보고 死線(사선)을 넘어 南韓(남한)으로 탈출해 온다.
저들이 南北協商(남북협상)을 오로지 南韓(남한)의 總選擧(총선거)를 방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했음은 하루 아침에 바뀐 구호나 가식된 환영준비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김태청(金泰淸)[3]씨(54세·현 변호사(辯護士)) 증언
.............
그래서 우리끼리 만나기만 하면 서로 수군거리고 서울소식을 교환하곤 했었는데 그해 四(사)월 초순엔가 南北協商 (남북협상)이 平壤(평양)에서 열린다고 해요.
그러자 며칠 후 거리에 나붙은 비라와 포스터를 모두 철거하라고 民戰(민전) 대원들이 설치고 다녔습니다. 그 당시 골목골목엔 "살인강도단 두목 金九(김구) 李承晩(이승만) 타도하자" 라는 비라와 "三千萬(삼천만)이 다 죽더라도 宿望(숙망)이던 황제 노릇 해보고야 말겠다"고 저들의 허위선전용으로 쓰여진 만화가 삽입된 김구선생 비방 포스터가 나붙어 있었으며 심지어 대동강 철교에도 페인 트로 半永久的(반영구적)으로 金九(김구) 타도하자는 내용의 구호가 쓰여있을 정도였습니다. 그땐 무슨 까닭인지 李承晩(이승만)보다 金九(김구)를 더 앞세웠어요. 그렇게 많은 비라와 플래카드 등을 부녀자들까지 동원해서 뜯어내느라 법석을 떨었으며 페인트로 쓴 것을 지우느라 고생했지요.
金九(김구) 선생같은 민족지도자를 어제까지도 그렇게 욕하더니 이렇듯 표변한 걸 보고 金九(김구) 金奎植(김규식) 선생을 눈가림하기 위한 수작이니 제발 平壤(평양)에 오셔서 저들에게 속지 말았으면하는 마음이 간절해졌습니다...........
회담이 끝난후 北韓(북한) 신문에 난 金九(김구) 선생의 記者會見(기자회견) 기사를 보았더니 南韓(남한)은 퇴폐적이라고 한 대신 北韓(북한)에 대해서는 좋은 말을했다고 쓰여 있었어요. 그걸보고 약간 실망했습니다.
당초 술책과 기만의 化身(화신)같은 저네들과 무슨 얘기를 하시겠다고 오시나 했지만 이왕 오셨으니 北韓(북한)에서 공산세력을 볼아내는 담판을 해줄 것을 은근히 기대했기 때문입니다. 아마 회담결과를 보고 北韓(북한)에 있던 反共的(반공적)인 국민들은 모두 실망했으리라 여겨집니다.
트루먼 대통령의 특사로 북한점령 소련군 사령관 치스차코프의 허락을 얻어 1946년 5월 29일 ~ 6월 4일 기간 북한 지역을 돌아보고 쓴 Pauley 보고서 (1946년 6월)에는 북한 도처에 김일성과 스탈린 찬양 포스터와 함께 이승만과 김구를 비방하는 포스터가 나붙어 있었다고 했다.
- Edwin Wendell Pauley, Report on Japanese Assets in Soviet-occupied Korea to the President of the Unites States June, 1946.
1946년말의 미군정 정보보고서에도 북한 전역에 김구와 이승만을 민족반역자로 매도하는 포스터가 나붙어 있다고 했다.
- A Confidential Report on the Conditions in Nothern Korea : 1946년 9월 25일부터 11월 30일까지 북한 지역을 살펴보고 온 사람이 말한 미군정 문서의 북한상황 보고서.
북한의 이런 분위기는 김일성이나 소련군정이 남북협상을 통해 단일정부를 수립하겠다는 의지가 전혀 없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런 사정을 김구나 김규식이 방북 전에 전혀 몰랐다면 그 자체도 문제이고, 알고도 방북을 고집했다면 국민들을 기만한 것이다.
김구와 김규식의 방북 배경
김구는 1947년 12월 1일에 소련이 UN의 남북동시총선 결의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남한만이라도 선거를 해야하고, 이를 두고 남한 단독의 정부수립이라고 부르면 안 되며, 북한 지역은 추후에 조건이 되면 선거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담화를 발표하였다.
- 자료대한민국사 제5권 > 1947년 12월 1일 > 한독당 김구, 정부수립과 민족단결 문제에 관해 담화 발표 동아일보, 조선일보 1947년 12월 02일
- 南北을 通한 選擧아니라도, 政府는 統一政府, 金九氏·聲明發表 婦女日報 1947.12.02
그러나 12월 2일 한민당 정치부장 장덕수(張德秀, 1894 ~ 1947.12.02)가 암살되고, 이후 그가 배후 인물로 지목되어[4] 법정에 나가 증언도 해야하는 등의 일을 겪으며[5], 이승만과 사이가 나빠지게 되고, 남한 단독의 5.10 총선 반대로 선회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김규식 등과 함께 남북협상을 추진한다.
남북협상은 원래 김규식이 먼저 꺼냈으나, 나중에 김구가 더 적극적이 되었다. 김구가 남한만의 총선을 반대하고 남북협상으로 방향을 선회한데는 중국시절 그와 친분이 있던 거물 남파 간첩 성시백(成始伯, 1905 ~ 1950)과 몰래 북한을 들락거리던 홍명희(洪命憙, 1888 ~ 1968)의 설득이 크게 작용했다고 한다.[6] 장덕수 암살의 배후로 의심받아 법정 증언에 나서야 했던 일이 미군정과 이승만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졌을 가능성도 있다.
당시 서울에 있었던 박갑동(朴甲東, 1919~ )의 주장에 의하면 김구는 남북협상이 성공하여 단일정부를 세우게 되면 자신이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굳게 믿고 북행을 택했다고 한다[7]. 성시백이나 홍명희가 김일성의 뜻이라며 그런 식으로 김구를 회유했을 가능성이 있다. 김구의 방북을 설득했던 홍명희는 같이 평양에 갔다가 서울로 귀환하지 않고 북한에 남아 부수상이 되었다. 그가 평양에 가서 갑자기 북한 잔류를 결정했을 리는 없고, 서울에서 이미 북한에 포섭되어 요원으로 활동하고 있었던 것이다.
김규식의 비서였던 송남헌(宋南憲, 1914~2001)[8][9][10]의 증언에 의하면 자신이 잘 모르고 속아서 추천했던 김규식의 또 다른 비서 권태양(權泰陽, ?~1965)은 북한에 포섭된 인물로 간첩 성시백(成始伯, 1905 ~ 1950)의 직계였으므로,[11] 권태양도 김규식의 방북 결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그는 김규식의 방북을 수행했다가 서울로 돌아왔지만, 6.25 당시 김규식의 납북에 직접 간여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12] 김규식이 방북을 결심하는데는 문화인 108인이 지지 성명 발표를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이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13][14][15] 성명서를 발표한 문화인 108인 중에는 홍명희(洪命憙, 1888 ~ 1968)의 장남으로 역시 월북한 홍기문(洪起文, 1903 ~ 1992) 같은 인물도 끼어 있었다.
이처럼 김구와 김규식 주변에는 북한 간첩들이 포진하여 그들이 방북하도록 설득하고 있었고, 홍명희와 같이 지명도 높은 북한에 이미 포섭된 인물들도 적극 나서 방북을 권유한 것 등이 양김씨의 방북 결심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남북협상은 1948년 5.10 총선거 직전인 4월 하순 ~ 5월 초순 남한 인사 200~300명이 방북하여 평양에서 열렸다.
- 『양김씨(兩金氏) 이미 항복(降服)』 북조선(北朝鮮)의 모략선전(謀略宣傳) 현대일보 [現代日報] 1948년 04월 15일 2면
양김씨(김구, 김규식)가 평양으로 출발도 하기 전에 북한 방송은 그들이 이미 항복했다고 선전하고 있었다.
김구는 4월 19일 청년학생들이 경교장 앞에서 그의 방북을 가로막자[16] 담을 넘어 북행을 결행하였고[17], 5월 5일에 돌아왔다.[18]
총선 방해를 위한 제주 4.3 폭동 발생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중앙당의 지령을 받은 남로당 제주도당 공산주의자들이 5.10 총선과 대한민국 건국을 저지하고 인민공화국을 수립하기 위하여 제주도에서 폭동을 일으켰다. 이 폭동이 상당히 심각한 양상으로 번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김구, 김규식 등이 이에는 전혀 아랑곳하지 않고 북의 공산주의자들과 협상을 하겠다며 방북을 강행한 것은 지도자로서 무책임하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북행(北行) 정당 단체 명부
당시 평양 소련군정 민정사령관이었던 니콜라이 레베데프 소장이 남긴 레베데프 비망록에 의하면 4월 20일 저녁까지 평양에 도착한 남측 인사는 245명이고, 대회가 끝날 무렵에는 총 396명으로 증가했다고 한다.[19] 스티코프가 수슬로프에게 보낸 1948년 7월 24일자 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이 나온다.[20]
- 좌파 정당과 사회단체.
노동당에서 박헌영과 허헌을 위시한 41명, 인민공화당에서 김원봉 등 16명,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에서 허성택 등 22명, 농민동맹에서 손일수 등 37명, 민주여성동맹에서 류영준 등 26명, 민주애국청년동맹에서 고광옥 등 56명, 문화단체총연맹에서 임화 등 12명, 재일조선인연맹 서울지부에서 리병섭 1명, 전국불교도총연맹에서 장상봉 1명, 기독교[민주]동맹에서 김창준 등 3명, 전국유교연맹에서 김응섭 등 3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중도파 정당과 사회단체.
근로인민당에서 백남운을 위시한 23명, 신진당에서 리용 등 9명, 민주한독당에서 김일청 등 7명, 조선어연구회에서 안영섭 등 2명, 불교청년회에서 김해진 1명, 자주여성동맹에서 우봉운 등 2명, 민주학생총연맹에서 봉시현 등 2명, 반팟쇼[공동투쟁]위원회에서 정운선 등 6명, 건민회에서 리극로 교수 등 5명, 독립운동자연맹에서 정이현 등 5명, 학병거부자동맹에서 박경실 등 2명, 민족해방청년동맹에서 ___ 등 3명, 청년애국회[?]에서 리정봉 등 2명, 신문기자단에서 정진석 1명, 건국청년회에서 리강무 등 12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우파 정당과 사회단체.
사회민주당에서 여운홍을 위시한 10명, [남조선]천도교청우당에서 김병재 등 6명, 근로대중당에서 김성모 등 9명, 한국독립당에서 김구 등 8명, 조선농민당에서 김채민 등 4명, 민주독립당에서 홍명희 등 13명, 민족자주연맹에서 김규식 등 16명, 천도교학생회에서 김극수 등 2명, 혁신복음당에서 안기승 1명, 삼일동지회에서 조용옥 등 2명, 민족대동회에서 김석규 등 5명, 민중구락부에서 리병욱 1명, 민중동맹에서 라승규 등 8명, 민족문제연구소에서 김시건 1명, 삼균주의청년동맹에서 조신방 등 10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북행(北行)한 인사(人士)와 단체명부(團體名簿) 1948.04.21 경향신문 1면
- 북행 정당단체 명부(北行 政黨團體 名簿) 1948.04.21 조선일보 1면[21]
민련(民聯) (一八), 한독당(韓獨黨) (八), 민독당(民獨黨) (一〇), 남노당(南勞黨) (二〇), 인공당(人共黨) (八), 기독민동(基督民同) (三), 유련(儒聯) (三), 전평(全評)(一〇), 전농(全農) (一〇), 민애(民愛) (九), 여맹(女盟)(一〇), 문련(文聯)(七), 민중동맹(民衆同盟) (五), 신진당(新進黨) (六), 근민당(勤民黨) (一五), 민주한독당(民主韓獨黨) (五), 사민당(社民黨) (一二), 독노당(獨勞黨) (六), 균청(均靑) (三), 신화당(新化黨) (三), 대한학련(大韓學聯) (六), 민주학생동맹(民主學生同盟) (三), 여론협회(輿論協會) (二), 발명협회(發明協會) (二), 청우당유교청년당(靑友黨儒敎靑年黨), 독립운동자동맹(獨立運動者同盟), 조선노농당(朝鮮勞農黨), 비민회(備民會), 자주여맹(自主女盟), 과학기술정협(科學技術政協), 기자회(記者會), 대한의열당(大韓義烈黨), 청년애지단(靑年愛智團), 불교연맹(佛敎聯盟), 산업건설(產業建設), 법조회(法曹會), 농민당(農民黨), 근로대중당(勤勞大衆黨), 민주학련(民主學聯), 고학생공제회(苦學生共濟會), 대한학련(大韓學聯) (六), 자주학련(自主學聯) (三), 이북학연건설학련(以北學聯建設學聯), 민주학통(民主學統), 건청(建靑), 민중구락부(民衆俱樂部), 재일연맹(在日聯盟), 공업기련(工業技聯), 반일혁후원회(反日革後援會) (三), 신예술연구회(新藝術研究會), 적산대책협의회(敵產對策協議會) (五), 전재민실업자위원회(戰災民失業者委員會)(五), 노농청년(勞農靑年), 귀환동포협회(歸還同胞協會), 남북통일촉성회(南北統一促成會)
- 김구는 4월 19일 오후 3시경 경교장 출발[22], 홍명희는 같은날 저녁 북행길에 오름.[23]
- 엄항섭, 조완구, 조소앙, 여운홍은 4월 20일 북행.[24]
- 김규식은 일행과 함께 4월 21일 새벽 평양으로 출발.
- 김박사 일행(金博士 一行)도 23명(廿三名) 어제 출발(出發) 1948.04.22 경향신문 1면
- 김원봉(金元鳳)·백남운(白南雲)은 4월 6일 평양 도착 : 金元鳳·白南雲 兩氏 平壤安着 부산신문 1948-04-10 일자 1면 6단
- 자료대한민국사 제6권 > 1948년 04월 12일 > 민전 산하 각 단체대표 80명이 남북협상참석차 평양출발 발표 서울신문 1948년 04월 14일
남북정당사회단체지도자협의회의 공동성명서
방북한 인사들은 북측 인사들과 회합한 후 4월 30일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대체로 소련과 북한 측 주장을 수용한 내용이며, 미군정도 이를 수용해야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2항에는
라고 하였지만, 이 말이 무색하게 1949년 미군이 철수하자마자[25][26] 북한은 곧바로 남침 전쟁을 개시하였다.
방북한 인사들은 자신들의 헛된 망상으로 국민들을 속인 것이다. 더구나 그들이 평양에 머물던 4월 29일에 북조선인민회의 특별회의에서는 만장일치로 헌법까지 채택완료했는데 그런 사람들과 무슨 통일정부 협상을 했다는 것인가?
- "인공(人共)" 헌법채택(憲法採擇) 북조선인위(北朝鮮人委)서 지난 29일(廿九日)에 1948.05.03 경향신문 1면
- 인공국(人共國)의 헌법(憲法) 1948.05.03 조선일보 1면
- 평양회담(平壤會談)에 하지 중장 성명(中將 聲明) 1948.05.04 경향신문 1면
- 기맥(氣脉) 통(通)한 남북공당원(南北共黨員) 연석회의(連席會議)에 불과(不過) 그들의 결의(决議)와 보도(報道)에 현혹(眩惑)치 말라.
남북협상 당시 영상
영상 초반부가 평양 남북협상 당시 장면을 보여주는 영상이며, 김구의 연설장면도 나온다.
방북 인사들 상당수는 북한에 잔류
레베데프 비망록에 의하면 당시 남한에서 방북했던 인사는 226명이라고 했는데, 이중 1/3 가량인 홍명희(洪命憙, 1888 ~ 1968), 김원봉 등 70여명이 돌아오지 않고 북한에 남았다.[27] 월북자들이 당당하게 북한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둘러리나 서 준 꼴이다. 유어만(劉馭萬) 중국 총영사의 4월 20일자 전문에 의하면 방북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돌아오지 않을 것으로 예견하고 있었다.[28] 과연 김구, 김규식은 이런 것도 모르고 방북을 강행한 것일까?
이들의 방북은 소련과 북한이 의도한대로 남한의 여론만 분열시키고, 종내 자신들의 운명도 파국적인 결말을 맞은 것 외에 아무런 긍정적인 효과도 얻은 것이 없다.
방북 후 북한에 잔류한 사람들
남북협상에 참여하러 방북한 사람들 중 상당수가 돌아오지 않고 북한에 잔류하였다. 대표적인 월북 인사는 홍명희(洪命憙, 1888 ~ 1968), 김원봉(金元鳳, 1898 ~ 1958), 백남운(白南雲, 1894 ~ 1979), 이극로(李克魯, 1893 ~ 1978), 성주식(成周寔, 1891~1959), 손두환(孫斗煥, 1895~?) 등이다. 이들은 평양에 가서 갑자기 잔류를 결정했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일찍부터 북한에 포섭되어 서울에서 요인들 방북에 바람잡이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열성적인 공산주의자로 보이지는 않았던 홍명희도 해방 직후부터 비밀리에 서너 차례 북한을 다녀와 북한에 포섭된 인물로 밝혀졌다.[29] 평양의 남북협상은 이런 인사들이 비밀리에 몰래 월북하지 않고 당당하게 북한으로 가는 길을 열어주었다.
방북인사들의 귀환후 행보
방북 후 귀환한 김구는 북측 인물들과의 회담에서 별 성과가 없었음에도 남한 단독의 총선과 정부 수립을 끝까지 반대하고, 한독당 인사도 참여하지 못하게 하자, 일부는 탈당하여 참여하였다. 김규식은 귀환 후 자신은 총선과 정부수립에도 참여하지 않았으나 측근들의 참여는 막지 않았다.
조소앙의 방북 귀환 후 행보
임시정부 외무부장을 역임했던 조소앙(趙素昻, 1887 ~ 1958)[30]은 여러 사람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김구, 김규식과 함께 북행하였으나 돌아와 남북협상이 완전히 실패했음을 인정하였다.[31]
그는 38선을 넘어온 뒤 여현(礪峴)에서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를 여현성명(礪峴聲明)이라 한다.[32] "남북협상은 완전히 실패다. 이북에 가보니까 김일성이 군사세력을 가지고 완전히 자기 독재정권을 형성해 나가고 있다."고 하였다. 조소앙은 김일성의 의도를 파악하고는 "김일성이 군사력을 바탕으로 단독정권을 세울 준비를 다 끝냈는데, 단독정부 수립을 하지 않겠다는 결의문을 채택했으니, 우리가 완전히 이용당한 것이다."[31] 서울에 와서 그는 남북협상의 실패를 기자와 지인들에게 설명하고 북한(North Korea)은 병영국가화 될것이라며 대한민국 단독정부 수립에 찬성하는 입장을 표시하게 된다.
남북협상 실패 직후 성명과 언론 발표, 강연 등을 통해 남북협상을 정치적 속임수라고 비판하던 그는 김구와 남북협상 실패 문제를 놓고 대립하여 분열하게 되었다.[31] 이후 김구, 김규식 등과 갈등하게 되었고, 한국독립당 내에서도 김구와 의사충돌을 하게 되었다. 결국 조소앙은 김구와 결별하고 임정의 한국독립당에서 떨어져 나와 사회당을 창당하였다.[33][31] 이후 그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지지하였으며, 7월 21일 대한민국 초대 내각 인선 때 그는 총리 예비 후보자로 추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는 6.25 때 납북 당했다.
여운홍의 방북 귀환담
암살당한 여운형의 동생 여운홍(呂運弘, 1891~1973)은 방북 후 서울로 귀환하여 4월 30일 미군정청 사람들에게 북한의 상황에 대해 아래와 같이 말했다.[34]
Reference Seoul's 281, Apr 29th, Lyuh Woon Hong called on Langdon this afternoon with 2 men who had been with him in North Korea and insisted on handing to Mr Langdon for delivery to Gen Hodge message from North-South conference in Pyongyang, which is in Korean language and is now being translated.
Lyuh commented briefly upon situation in North Korea saying that he would tell Langdon more later (Lyuh seemed reticent to talk too much in presence of 2 men with him). Substance of his remarks is as follows:
- Everything in north is very orderly with much industrial activity and factories apparently going full blast. Unquestionably organization of things in North Korea is better than in South Korea, but there is very little freedom. People are very reserved with not so much expression of joy as in South Korea. There is little sign of wealth or goods; No restaurants; and no way of having any fun.
- When South Korean representatives move from their hotel or quarters, they must obtain permission and are questioned as to whom they are going to see, etc. The Korean flag is still used.
북한은 질서 정연하고 공장들도 풀로 가동되고 있으며, 일들이 잘 조직화 되어있는 점에서는 남한보다 나은 것에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자유가 거의 없다고 했다. 또 사람들은 남한 사람들처럼 기쁨을 표현하지도 않고 말을 아끼며, 상품이 많고 부유하다는 흔적은 거의 보이지 않고 , 식당도 없으며 어떤 재미도 느낄만한 것이 없었다고 했다. 남측 인사들은 호텔에서 움질일 때도 허가를 받아야 했으며, 누구를 만나는지 조사를 받아야 했다고 하니, 북한 사람들도 저 당시 이미 거의 모든 행동의 자유를 박탈 당한 상태에서 감시를 받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집단들과 통일정부를 세울 수 있었겠는가?
김구, 김규식의 귀환 공동 성명
방북했던 김구, 김규식은 5월 5일 저녁 서울에 귀환하여 성명을 발표했다.
- 남조선(南朝鮮) 선거반대(選擧反對)에 합법적 투쟁 전개(合法的鬪爭展開) : 양김씨 기자단 회견(兩金氏 記者團 會見) 1948.05.08 조선일보 1면
- 平壤會談(평양회담)에 다녀와서 경향신문 1948-05-07 1면
- [共同聲明(공동성명)] 延安貯水池 開放承諾(연안저수지 개방승낙) 斷電(단전) 않기로 相約(상약) 曹晚植氏(조만식씨)는 次機越南(차기월남)을 容許(용허) 경향신문 1948-05-07 1면
- 兩金氏(양김씨) 共同聲明發表(공동성명발표) 1948.05.07 동아일보 1면
성명서내용(聲明書內容)
금반(今般) 우리의 북행(北行)은 우리 민족(民族)의 단결(團結)을 의심(疑心)하는 세계인사(世界人士)에게는 물론(勿論)이오 조국(祖國)의 통일(統一)을 갈망(渴望)하는 다수동포(多數同胞)들에게까지 금차행동(今次行動)으로써 많은 기대(期待)를 이루어준 것이다. 그리고 남북 제정당 사회단체 연석회의(南北 諸政黨 社會團體 連席會議)는 조국(祖國)의 위기(危機)를 극복(克服)하며 민족(民族)의 생존(生存)을 위(爲)하여는 우리 민족(民族)도 세계(世界)의 어느 우수(優秀)한 민족(民族)과 같이 주의(主義)와 당파(黨派)를 초월(超越)하여서 단결(團結)할 수 있다는 것을또한번 행동(行動)으로써 증명(證明)한 것이다. 이 회의(會議)는 자주적 민주적 통일조국(自主的 民主的 統一祖國)을 재건(再建)하기 위(爲)하여서 남조선(南朝鮮) 단선 단정(單選 單政)을 반대(反對)하며 미소 양군 철퇴(美蘇 兩軍 撤退)를 요구(要求)하는데 의견(意見)이 일치(一致)하였다. 북조선 당국자(北朝鮮 當局者)도 단정(單政)은 절대(絕對) 수립(樹立)하지 아니하겠다고 확언(確言)하였다. 이것은 우리 독립운동(獨立運動)의 역사적 신발전(歷史的 新發展)이며 우리에게 큰 서광(曙光)을 주는 바이다. 더욱히 남북제정당사회단체(南北諸政黨社會團體)들의 공동성명서(共同聲明書)는 앞으로 양군철퇴후(兩軍撤退後) 전국정치회의(全國政治會議)를 소집(召集)하여 통일적 임시정부(統一的 臨時政府)를 수립(樹立)할 것을 약속(約束)함으로써 우리 민족통일(民族統一)의 기초(基礎)를 전정(奠定)할 수 있게 하였으며 자주적 민주적 통일조국(自主的 民主的 統一祖國)을 건설(建設)할 방향(方向)을 명시(明示)하였으며 외력(外力)의 간섭(干涉)만 없으면 우리도 평화(平和)로운 국가생활(國家生活)을할 수 있다는 것을확 증(確證)하였다. 그럼으로 우리는 앞으로 여하(如何)한 험악(險惡)한 정세(情勢)에 빠지드라도 공동성명서(共同聲明書)에 표시(表示)된 바와같이 동족상잔(同族相殘)에 빠지지 아니할 것을 확언(確言)한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는 것이니 우리가 이것으로써 만족(滿足)을 느낄 수는 없는 것이다. 이미 거두워진 성과(成果)를 갖이고 최후(最後)의 성공(成功)을 하는 것은 오즉 우리의 애국동포 전체(愛國同胞 全體)가 일치(一致)하게 노력(努力)하는데 있을 뿐이다. 상술(上述)한 연석회의(連席會議)에서 국제협조(國際協調)와 및 기타 수개문제(其他 數個問題)에 대(對)하여 우리의 종내주장(從來主張)이 다 관철(貫徹)되지 못한 것은 우리로서는 유감(遺憾)으로 생각하는 바이나 국제협조문제(國際協調問題)에 대(對)하여서는 앞으로 어느 나라가 우리의 독립(獨立)을 더 잘 도아주느냐는 실시행동(實施行動)에서 용이(容易)하게 해결(解决)될 수 있는 것이며 또 기타문제(其他問題)에 있어서도 앞으로 각자(各自)가 노력(努力)하며 남북지도자(南北指導者)들이 자조 접촉(接觸)하는데서 원만(圓滿)히 해결(解决)할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 우리는 행동(行動)으로써만 우리 민족(民族)은 단결(團結)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證明)한 것이 아니라 사실(事實)로도 우리 민족(民族)끼리는 무슨 문제(問題)던지 협조(協調)할 수 있다는 것을 체험(體驗)으로증명(證明)하였다.
한 예(例)를 들어 말하면 첫재 북조선 당국자(北朝鮮 當局者)가 남조선 미당국자(南朝鮮 美當局者)와의 분규(紛糾)로 인(因)하야 남조선(南朝鮮)에 대(對)한 송전(送電)을 최단기간(最短期間)에 정지(停止)하겠다고 남조선(南朝鮮) 신문기자단(新聞記者團)에게 언명(言明)한 바 있었고 둘재 연백등 수개처(延白等 數個處)의 저수지 개방문제(貯水池 開放問題)도 원활(圓滑)히 하지 아니한 일이 있었지만 이번 우리의 협상(協商)을 통(通)하여 그것이 다 잘 해결(解决)된 것이다 앞으로 북조선 당국자(北朝鮮 當局者)는 단전(斷電)도 하지 아니하며 저수지(貯水池)도 원활(圓滑)히 개방(開放)할 것을 쾌낙(快諾)하였다.
그러고 조만식 선생(曺晩植 先生)과 동반(同伴)하여 남행(南行)하겠다는 우리의 요구(要求)에 대(對)하여 북조선 당국자(北朝鮮 當局者)는 금차(今次)에 실행(實行)시킬 수는 없으나 미구(未久)에 그리 되도록 노력(努力)하겠다고 약속(約束)하였다.
끝으로 우리 일행(一行)의 안부(安否)를 위(爲)하여 관심(關心)하여주신 동포(同胞)와 및 우리에게 관대(款待)와 편의(便宜)를 주신 남북(南北)의 당국자(當局者)와 여론계(輿論界) 또 양주둔 군사령장관(兩駐屯軍 司令長官)에게 사의(謝意)를 표(表)한다.발표한 성명서의 내용대로라면 두 사람은 북한측의 속셈을 전혀 파악하지 못한 채 그들이 꾸며놓은 각본에 놀아나다 온 것이다. 국민을 우롱하는 무책임한 발언들로 보인다. 이들의 북한 집단에 대한 오판이 자신들의 불행한 운명을 초래한 원인이 되지 않았다고 말하기 어렵다. 아래 조선민주당의 비판 성명이 훨씬 더 설득력이 있다.
- 協商(협상)은 空念佛(공염불) 朝民黨聲明(조민당성명) 1948.05.07 동아일보 1면
미군정의 보고서에는 조선일보 기사에 난 양김씨의 공동성명에는 없는 내용도 많이 있다. 성명 발표 후 오간 대화의 내용까지 포함된 듯하다.
- Kim Koo and Kim Kiusic issue joint statement (김구와 김규식의 공동성명) 문서번호 501.BB-Korea/5-648, 발신 JACOBS, 수신 국무장관, 날짜 1948-05-06.
- 두 사람은 남한군이 북한을 공격하지 않는 한 북한군의 남침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2개월여 뒤 김구는 중국공사 유어만(劉馭萬, Liu Yuwan)과의 대화에서 북한군은 이미 강력하여 남한이 따로 정부를 세워도 그들이 남침하여 적화될 것이기 때문에 단정을 반대하는 것처럼 말했다.[36]
귀환 후에도 김구는 남한 단독의 총선을 반대하고 참여도 하지 않았다. 이후 수립된 대한민국을 인정하지도 않았고, 어떤 협력도 거부했다. 김규식은 단독 총선에 반대하지는 않으나 자신은 참여하지 않겠다고 하였다.
6.25 남침과 남북 협상 참여 요인들의 납북
김구가 예상했던대로 북한은 불과 2년뒤 6.25 남침 전쟁을 개시하였다. 이는 남북협상에 임한 북한의 의도가 남한의 총선을 방해하는 것이 목적이고, 그들이 원하는 남북한 단일정부는 애초부터 남침 전쟁을 통해 남한을 적화하여 달성한다는 계획이었음을 입증한다. 전쟁 준비는 하루 이틀 사이에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므로 북한이 해방 직후부터 군사력 강화에 열성적이었다는 것도 이런 목적을 이루기 위한 것으로 볼 수 밖에 없다. 소련의 대리인으로 소련군의 전폭적 지원을 받아 북한의 실질적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김일성이 자신의 권력을 잃을 수도 있는 남북합의에 의한 통일 정부 수립을 진지하게 고려했을 리는 만무하고, 자신이 통일 정부의 최고 권력자가 되는 남침 적화통일만이 그가 원한 유일한 통일정부 수립 방식이었을 것은 자명하다.
김구, 김규식 등이 5월 초 귀환한 후 불과 10개월 뒤인 1949년 3월에 김일성 일당은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스탈린을 만나 남침 전쟁 승인과 지원을 요청했으나[37][38][39][40][41][42][43] 거절 당하고,[44] 이후 48차례나 스탈린에게 전문을 보내 간청한 끝에[45][46] 간신히 승락을 얻어 6.25 남침 전쟁을 일으킨다.
이들이 과연 김구, 김규식 일행이 방북했을 때 진지한 마음으로 그들을 대했겠는가? 방북한 인사들은 그들에게 완전히 농락당한 것이다. 북한이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남북협상에 나선 것은 남한에 분열과 혼란을 조성하고 총선을 방해할 목적이 있었을 뿐이고, 애초부터 전쟁을 통한 적화통일을 준비하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귀환 인사들 중 다수는 6.25 때 납북
뿐만 아니라 당시 방북했다 귀환한 요인들은 피살된 김구 외에는 대부분 6.25 때 납북되었다.
전 북한정무원 부부장 박병엽 (필명 신경완)의 증언에 의하면 북한 측은 남북협상에 참여했던 인사들의 이용 가치가 높다고 보아 우선 납북 대상으로 지목하고 있었다고 한다.[49]
인민군은 단기간에 서울을 점령한 후 낙동강 전선까지 밀고 내려갔다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국군과 UN군의 반격으로 남한 적화가 실패할 가능성이 커지자, 남한의 주요인사들을 납북하기 시작했다. 협상을 위해 방북했던 김규식(金奎植, 1881 ~ 1950), 조소앙(趙素昻, 1887 ~ 1958), 조완구(趙琬九, 1881 ~ 1954), 엄항섭(嚴恒燮, 1898 ~ 1962), 김붕준(金朋濬, 1888 ~ 1950), 최동오(崔東旿, 1892~1963)[50], 원세훈(元世勳, 1887 ~ 1959)[51], 오하영(吳夏英, 1879 ~ 1960), 박건웅(朴健雄, 1906 ~ ? )[52] 등이 납북되었다. 평양까지 가서 공산주의자들의 실상을 겪어보고도 그들의 실체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끝내 그들에 의해 비극적인 일을 당한 것이다. 김구도 암살 당하지 않고 생존해 있었더라면 최우선 납북 대상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남북협상 관련 소련측 기록
소련 붕괴 후 공개된 소련측 자료들에 의하면 남북협상을 막후에서 주도한 세력은 소련군정 실세 스티코프와 레베데프이며, 김일성, 김두봉은 그들이 내세운 꼭두각시에 지나지 않는다. 김구와 김규식 등 남측 인사들은 소련의 각본에 놀아난 것이다.
- 전 제주경찰서장 김영중의 제주 4.3 자료집 - 비망록 번역문 전문을 볼 수 있다.
- 48년 남북정치협상은 蘇각본 - 蘇민정사령관 레베데프 비망록 중앙일보 1994.11.15 종합 1면
- <평양의4김회담>1.레베데프 비망록-자료적 가치 중앙일보 1994년 11월 15일 종합 8면
- <평양의4김회담>1. 46년만에 밝혀진 南北정치협상 진상 중앙일보 1994년 11월 15일 종합 8면
- <평양의4김회담>2. 金九 올때까지 대표자회의 연기 중앙일보 1994.11.16 종합 8면
- <평양의4김회담>2. <해설>蘇군정 남한정세 손금보듯 중앙일보 1994. 11.16 종합 8면
- <평양의4김회담>3. 蘇,김일성에 신문보도 일일이 지시 중앙일보 1994.11.17 종합 8면
- <평양의4김회담>4. 白凡 "나는 김일성 만나러 왔을뿐" 중앙일보 1994.11.21 종합 8면
- <평양의4김회담>5. 蘇 朴憲永도 빠뜨려선 안된다 중앙일보 1994.11.22 종합 8면
- <평양의4김회담>6. 蘇 南대표에 총선후 정부수립 약속받아라 중앙일보 1994.11.23 종합 8면
- <평양의4김회담>7. 끝 조만식 南行 白凡요구에 金日成침묵 중앙일보 1994.11.24 종합 8면
- 전현수 역, 『레베제프 일기(1947~1948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2006.
- 북한현대사 관련 러시아 기록사료(Russian Archives) 조사연구 - 구소련 군정문서.외교문서(1945-1960)를 중심으로 기초학문자료센터 (KRM)
- 첨부된 pdf 파일 중 "2. 레베제프 일기 러시아어 원문" / "18. 레베제프 일기 번역문" (온라인 열람 가능)
- 김영중(金英仲) 편, ≪레베데프 비망록 : 대구, 매일신문 1995.1.1.~2.28. 24회 연재기사 全文: 1947.5.14~1948.12.26 기록≫ (제주, 해동인쇄사, 2016) / (Naver 책 : ISBN 480B170805082)
- 전현수 역, 해외사료총서 10권 ≪쉬띄꼬프일기≫ (국사편찬위원회, 2004년 12월 30일)
- 전현수, ≪쉬띄꼬프일기≫ 해제 국사편찬위원회 : 스티코프의 생애가 자세히 나옴.
- 〈1948년 4월 남북조선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자료〉 발신자 스티코프 상장 / 수신자 전연방볼쉐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 수슬로프[53]
스탈린이 1948년 4월 김일성에게 보낸 지령문
- 스탈린이 1948년 4월 김일성에게 보낸 지령문 이승만 기념관[54]
북한의 인민공화국 정식선포는 스탈린의 상세한 지시에 따라 다 준비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반박의 여지없이 드러내주며, 김구 일행이 참석했던 남북한 지도자 연석회의는 유엔에서 소련이 주장하고 있던 것을 복창하는 것이 될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김일성은 스탈린의 지시 없이는 전혀 행동할 수가 없는 처지였다.
- 1948년 4월 12일자 문건. "김일성 동무에게 보내는 충고", 중앙위원외 서기장 스탈린 서명과 날인된 문서.
러시아국립사회정치사문서보관소 문서군 17, 목록 3, 문서철 1070, 11쪽. 원본. 1948년 4월 12일 전연방공산당(볼셰비키) 중앙위원회 정치국 결정, 의사록 제 63호, 제 38항에서 발췌. 남북 조선의 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의 개최와 관련해서.
내용은 김구, 김규식 등이 참석하는 남북 지도자 연석회의에 관한 공산당 지시문. 유엔이 결정한 남한 단독 선거 반대, 외국군 철수 후 선거실시 등 소련이 유엔에서 주장하는 내용과 같은 결의를 받아내라는 지시문. - 1948년 4월 24일자 문건. "조선의 헌법문제에 대하여", 스탈린 서명 날인된 문서.
문서군 17, 목록 162, 문서철 39, 38쪽 원본. 소련공산당 중앙위 정치국 결정, 의사록 제63호, 제89항에서 발췌.
내용은 북조선 헌법 초안에 몇가지 수정을 가하라는 극비의 지시를 소련군 사령관 슈티코프를 대리하는 레베졔프에게 보내라는 지시문.
남북협상 관련 북한 문헌과 영상
아래 북한에서 제작한 당시 영상물을 보면 "남북연석회의"는 소련과 북한에 대한 찬양 및 남한과 미국에 대한 비방으로 시종했다는 것이 생생하게 드러난다. 이런 회의에서 무슨 통일정부수립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가능했겠는가? 참석했던 김구나 김규식은 이런 일을 겪고도 서울로 귀환해서 똑같이 북한과 소련을 찬양하고 남한과 미군정을 비방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 South-North Meeting (원제명: 남북련석회의) : 북조선 국립영화촬영소 한국근현대영상아카이브,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 이 영상은 1948년 4월 북한 평양의 모란봉극장에서 남북한 제 정당 사회단체 대표들의 참석 하에 개최된 남북연석회의를 소개하고 있다. 영상 초반부에는 민족의 자주독립과 통일에 있어 남북연석회의의 의의가 안내되고 있으며 이어 김월송의 개회로 주석단을 선출한 후 본격적인 회의에 돌입한다. 회의에서 남북의 정치정세에 대하여 각각 박헌영과 김일성이 보고하는데 먼저 북한에 대한 김일성의 보고에서는 미국이 남한을 식민지화한 상태에서 한반도 정세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으며 아울러 북한에서 실시된 각종 민주개혁의 결과로 부강해진 북한의 발전상을 설명한다. 이어 박헌영은 남한정치정세 보고에서 기아와 도탄에 빠진 남한 사회상을 보고하며 미국의 제국주의적 침략정책을 비판한다. 아울러 회의에 참석한 김구의 연설이 이어지고 이후 각 대표들의 의사발언이 진행된다.[55]
-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 회의(全朝鮮 諸政黨 社會團體 代表者 連席會議) 문헌집 북조선인민위원회 선전국 (조선인민출판사, 1948.04.27)
- Item #71 '남북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중요자료집', 1948. 5
- 1948년 5월 15일 서울 을지로의 신흥출판사 발행으로 되어 있으나 북한자료임 (미군노획문서)
- “민족의 령수를 받들어 용감하게 싸운 통일혁명렬사” 로동신문 1997년 05월26일 2면
- 김구의 방북을 설득한 거물 남파간첩 성시백(成始伯, 1905 ~ 1950) 관련 특집기사임.
참고 자료
- 조규하(曺圭河), 이경문(李庚文), 강성재(姜聲才) 공저, 『남북(南北)의 대화(對話)』 (서울: 한얼문고, 1972)
- 조규하, 이경문, 강성재 공저, 『남북(南北)의 대화(對話)』 2판 (서울, 고려원, 1987) (국회도서관 온라인 열람 가능)
- 이 책의 내용은 1971년 동아일보에 연재되었으며, 온라인 검색으로 열람가능하다.
- 『南北(남북)의 對話(대화)』 <15> 老革命家(노혁명가)들의 꿈과 좌절 (15) 南北協商(남북협상) 反對論者들 1971.11.04 동아일보 4면
- 유영구, “거물간첩 성시백 프로젝트”상, 『월간중앙』 1992년 6월호, pp.634-667.
- 유영구, “거물간첩 성시백 프로젝트”하, 『월간중앙』 1992년 7월호, pp.?~?.
- 『로동신문』, 1997. 5. 26에 보도된 성시백 관련 기사[56]
- 서중석(徐仲錫), 『신편한국사 52: 대한민국의 성립』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02-12-30)
- 전현수, 소련의 북조선 독자정권 구상과 토착 공산주의자들의 반발 신동아 2005년 11월 호
- 이완범, '남북협상과 건국' (Kim Koo and Kim Kyu-shik's Unification Talks with Kim Il-Sung, 1948) 2008년 9월 제4회 세계한국학대회 발표 원고
- 양동안, 1948년의 남북협상에 관한 연구 정신문화연구 제33권 제2호 (통권 119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06)
- 양동안, 1948년 남북협상과 관련된 북한의 대남 정치공작 국가정보연구 제3권 1호 (한국국가정보학회, 2010-08-17)
- 양동안, 해방공간에서의 남북한 정보·정치공작 활동 2010-02-23 한국국가정보학회 학술세미나 발표문
- 손세일(孫世一)의 비교 評傳 (99) 한국 민족주의의 두 類型 - 李承晩과 金九 : “38線을 베고 自殺이라도 하겠다! 월간조선 2012년 7월호
- 손세일(孫世一)의 비교 評傳 (100) 한국 민족주의의 두 類型 - 李承晩과 金九 : 5·10選擧로 制憲國會 구성 월간조선 2012년 8월호
- 신복룡, <광복 70주년 특집 | 인물로 본 해방정국의 풍경> 김구와 김일성의 다른 계산 : 남북협상 [주간조선 2371호] 2015.08.24
- 48년 남북정치협상은 蘇각본 - 蘇 민정사령관 레베데프 비망록 중앙일보 1994.11.15 종합 1면
- 남북협상(南北協商) / 남북연석회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 손세일 전 국회의원, 김구는 북한 가서 대체 뭘 했나? 조선 Pub 2014-11-07
박갑동(朴甲東)의 증언
박갑동(朴甲東, 1919 ~ )은 남북협상 당시 남로당원으로 서울에 있었으며, 공산주의자들의 움직임에 대해서 잘 알고 있었으며 그때의 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증언한다.
- 박갑동(朴甲東, 1919 ~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第31話 : 내가 아는 박헌영』: 중앙일보 연재
- 『내가 아는 박헌영 (118)』 <2·7폭동사건> 중앙일보 1973.07.19 종합 5면
- 남한총선 결정에 남로당서 폭동 / 김구·김규식, 단정 수립안 계속 반대 / 동맹휴교 60교·306명 검거… 하루만에 폭동진압
- 『내가 아는 박헌영 (119)』 <제주도 폭동사건> 중앙일보 1973.07.20 종합 5면
- 2·7투쟁전후 제주에 무장행동 지령 / 중앙당선 당 군사부 책임자까지 파견 / 경비대 소속 남로당원들 경찰서·14개지서 등 습격 / 토벌대장도 피살, 폭동 1년 계속… 여·순 사건으로 비화
- 『내가 아는 박헌영 (120)』 <남·북 연석회의> 중앙일보 1973.07.21 종합 5면
- 단독정부 반대 위해 남·북 정당·단체 연석회의 / 김구·김규식, 남한대표로 평양회합에 양 김씨는 주석단에 안 껴주고 푸대접 / 조만식 석방요구에 김은 밀서 내밀며 "장난 그만 하시오"
- 『내가 아는 박헌영 (121)』 <김구의 평양행> 중앙일보 1973.07.23 종합 5면
- 남·북 연석회의, 김일성의 모략에만 이용당해 / 김구·김규식은 귀경 즉시 성명을 발표 실패나 성공 말 않고 요령부득한 내용 / 북쪽선 이미 인민공화국헌법의 초안을 채택
- 『내가 아는 박헌영 (122)』 <남로당의 딜레마> 중앙일보 1973.07.24 종합 5면
- 소, 김·박 두 사람 놓고 지도자선출 신중 / "이남 선거인 해주로 보내라" 박의 지령 / 박은 "친소정권에 대한 태도 불투명" 트집 실격 / 소의 「전조선적인민정당」방침 따라 남로당선 「지하선거」
- 『내가 아는 박헌영 (123)』 <지하 선거> 중앙일보 1973.07.25 종합 5면
- 지하선거로 대의원 3백60명 선출 / 남로당, 최고인민회의에서 북로당 압도 / 무력 없는 남로당, 행정부 구성 때 김일성 세력에 밀려나
- 『내가 아는 박헌영 (124)』 <여순사건의 저변> 중앙일보 1973.07.26 종합 5면
- 폭동진압 출동에 항거, 14연대가 반란 / 남로당 세포위, 찬반 싸고 심각한 내분 / 군 내부 「푸락치」침투에만 주력했던 박도 예측 못한 우발사고
함께 보기
각주
- ↑ Andreĭ Nikolaevich Lanʹkov, 《From Stalin to Kim Il Song: The Formation of North Korea, 1945-1960》 (C. Hurst & Co., 2002) pp.42~44.
- ↑ 월남한 북로당원 유재민(柳在敏), 이북실정 폭로 : 자료대한민국사 제6권 > 1948년 04월 25일 동아일보 1948년 04월 30일
- ↑ 김태청 (金泰淸, 1917.09.22~ ?) : 한국근현대인물자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유어만(류위완, 劉馭萬) 중국 총영사의 代電 제119호 : 1948년 4월 20일 - 김구가 장덕수 암살에 연루된 혐의가 적지 않다고 했다.
- ↑ Kimm Koo refuses to identify Kim Suk Whang, reputed leader of the ten who conspired to assassinate Chang Dok Soo[장덕수 암살사건에 연루된 10명의 용의자에 대한 군사 재판에 출석하여, 김석황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진술하는 김구 1948.03.15 법정 사진
- ↑ [김효선 칼럼] 거물 간첩 성시백의 포섭작전 내막 : 해방공간의 김구, 선거도 정부수립도 반대 뉴데일리 2010-08-12 : 간첩 성시백이 김구에게.."장군님도 선생을 대통령으로 모시고자..."
- ↑ 《건국 50년 대한민국, 이렇게 세웠다: 이철승 박갑동 좌우 거목의 세기적 대담》 (이철승, 박갑동 공저, 계명사, 1998) pp.368~369
- ↑ 송남헌(宋南憲, 1914~2001) 위키백과
- ↑ [삶과 추억] 독립운동가 고 송남헌옹 [중앙일보] 입력 2001.02.24 종합 25면
- ↑ [인터뷰] 독립운동가 <송남헌 옹>..내가 만나본 김일성 인상 한국경제 1994.07.11
- ↑ 내가 겪은 해방과 분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연구소 저, 선인, 2001) pp.34~36
- ↑ 김효선, '건국이념의 상실'이 한국미래 어둡게 해 한국논단 2009년 8월호
- ↑ 南北(남북)의 對話(대화) <2> 老革命家(노혁명가)들의 꿈과 좌절 (2) 密使(밀사)의 往來(왕래) 1971.10.05 동아일보 4면
- ↑ 南北(남북)의 對话(대화) <7> 老革命家(노혁명가)들의 꿈과 좌절 (7) 金奎植(김규식)의 心境(심경) 1971.10.16 동아일보 4면
- ↑ 南北協商만이 救國에의 길, 薛義植氏等 108 文化人이 支持聲明 獨立新報 1948.04.29
文化人 百八名 連署, 南北會談 支持 聲明, 兩軍 同時 撤兵은 大經大法이다. 조선중앙일보(朝鮮中央日報) 1948.04.29 : 조선중앙일보는 간첩 성시백이 서울에서 간행하던 신문이다. - ↑ 자료대한민국사 제6권 > 1948년 4월 19일 > 김구, 청년 학생들의 북행만류에 비장한 결의 표명 동아일보, 서울신문, 조선일보 1948년 04월 20일
- ↑ 자료대한민국사 제6권 > 1948년 4월 19일 > 김구 38선을 넘어 북행 서울신문, 조선일보 1948년 04월 21일
- ↑ 자료대한민국사 제7권 > 1948년 5월 5일 > 남북협상 참석차 북행했던 김구, 김규식 입경 서울신문, 조선일보 1948년 05월 06일, 07일
- ↑ 파일:레베데프 비망록.pdf p.123
- ↑ 〈1948년 4월 남북조선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자료〉 발신자 시티코프 상장 / 수신자 전연방볼쉐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 수슬로프 / 발신일: 1948.07.24.
- ↑ 북행 정당단체 명부(北行 政黨團體 名簿) 1948.04.21 조선일보 1면
- ↑ 金九氏 平壤着(김구씨 평양착) 조선일보 1면 1948-04-21
- ↑ 原則(원칙)과 路線(노선) 이미 决定(결정) 조선일보 1면 1948-04-21
- ↑ 萬事如意(만사여의)를 確信(확신) 조선일보 1면 1948-04-21
- ↑ 미군철퇴완료(美軍撤退完了) 어제 최후(最後)로 1600名(명) 이한(離韓) : 자주독립(自主獨立)에 거보(巨步) 한위감시하(韓委監視下)에 인천출항(仁川出港) 1949.06.30 경향신문 1면
- ↑ 주한미군철퇴완료(駐韓美軍撤退完了)! 미육군성성명서발표(美陸軍省聲明書發表) 1949.07.02 조선일보 1면
- ↑ 양동안, 1948년의 남북협상에 관한 연구 정신문화연구 2010.06 통권119호 p.39
- ↑ 유어만(劉馭萬) 총영사의 代電 1948년 4월 20일 제119호
- ↑ 중앙일보 특별취재반, 『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서울: 중앙일보사, 1993), 하권 pp.212~223. 해방 후 홍명희의 정치활동과 북한과의 연결에 대한 서용규(북한 노동당 고위간부 출신 박병엽의 가명)의 증언이 자세히 나온다.
박병엽(朴炳燁, 1922 ~ 1998) 구술, 유영구, 정창현 엮음, 김일성과 박헌영 그리고 여운형 - 전 노동당 고위간부가 본 비밀회동 (선인, 2010) "제4장 홍명희의 월북" - ↑ 삼균학회(三均學會), 『소앙선생문집(素昻先生文集) (上, 下)』 (서울: 횃불사, 1979)
- ↑ 31.0 31.1 31.2 31.3 31.4 《건국 50년 대한민국, 이렇게 세웠다: 이철승 박갑동 좌우 거목의 세기적 대담》 (이철승, 박갑동 공저, 계명사, 1998) pp.366~367
- ↑ <백년편지 168> 나의 동생 조소앙을 그리며, 제65주년 제헌절에 쓴다 -서희경- 우리문화신문 2013.08.20“북방은 소련 코민포름 지령하에 강대한 권력과 무력을 배경으로 한 데 대하여 우리들은 (…) 상대가 되지 않았으므로 결국 실패에 돌아간 것이다”... “민족진영의 재편성 내지는 대동단결이 필요하며 가능한 지역에서의 선거로 우리의 정부를 수립해야 한다"
(『삼천리』 1950.4.1) - ↑ 社會黨發足, 委員長, 趙素昻氏 국제신문[國際新聞] 1948년 12월 12일
- ↑ RG 9, Radiograms, Microfilm No. 246-253, 주한미군의 남한 사정에 대한 보고서 (24) : p.295 Lyuh Woon Hong's comment (situation in North korea) 1948.04.30 / : p.273 Regarding LYUH WOON HONG 1948.04.29 (평양방송이 여운홍이 소련군정의 편지를 가져와서 미군정에 전달할 것이라 함.
- ↑ 통일기초(統一基礎)는 전정(奠定) 애국동포(愛國同胞)의 단결끽긴(團結喫緊) 김구(金九), 김규식(金奎植) 양씨공동성명(兩氏共同聲明) 1948.05.07 조선일보 1면
- ↑ 김구#서울 귀환 후
- ↑ 37.0 37.1 1949 The Korean Government Delegation's Visit to Moscow (Korean Version) Wilson Center Digital Archive
- ↑ 北(북), 南侵(남침) 48년부터 준비 1992.08.19 동아일보 1면
- ↑ "南侵(남침)준비는 48년부터" 1990.06.23 경향신문 13면
- ↑ March 05, 1949 Meeting between Stalin and Kim Il Sung Wilson Center Digital Archive
- ↑ 北韓代表(북한대표)의 名簿(명부) 1949.03.06 경향신문 1면
- ↑ 蘇(소)에 借款要求(차관요구) 北韓代表派遣(북한대표파견) 1949.03.06 동아일보 1면
- ↑ 송종환, 6·25 전쟁 50년의 再照明 ⑧ - 舊소련 비밀문서에 나타난 전쟁의 起源 : 스탈린은 6·25 전쟁을 기획하고 연출한 총감독이었다 월간조선 1999년 11월호
- ↑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2>” 한겨레신문. 1994년 7월 22일. 5면.
- ↑ Kathryn Weathersby, “New Findings on the Korean War” Cold War International History Project Bulletin, 3 (Fall 1993), p.14: This was Kim Il Sung’s war; he gained Stalin’s reluctant approval only after persistent appeals (48 telegrams!).
- ↑ 소련, “남침 준비 부족, 게릴라전 주력하라” Kbs News 2010.06.24 (22:03)
- ↑ 홍명희(洪命熹) 맏딸과 김일성(金日成) 재혼(再婚) 연합신문(聯合新聞) 1950.01.25
김일성(金日成)이 재혼(再婚), 홍명희(洪命熹) 맏딸 영숙(永淑)과 자유신문 1950년 01월25일 2면 10단
김일성(金日成) 재혼(再婚) 한성일보(漢城日報) 1950.01.25
깨여지는 괴뢰(傀儡)의 백일몽(白日夢) 치열화(熾烈化)한 반소반공운동(反蘇反共運動) 1950.01.25. 경향신문 2면
History of the North Korean Army U.S. Army Far East Command, July 31, 1952; 원문 pp.90~91 (pdf pp.144~145) : In January 1950, he (KIM Il Sung) is said to have married a daughter of HONG- Myong Hui, a Vice Premier of the North Korean Regime. - ↑ 金日成 전속 간호부 趙玉姬, 체포 후 기자회견 부산일보 1951년 03월 01일
- ↑ 《(현대사실록) 압록강변의 겨울 : 납북 요인들의 삶과 통일의 한》 : 이태호 著; 신경완(申敬完) 증언 (다섯수레, 1991) pp.22~24
박영실, 한국전쟁기 북한의 남한 주요인사 납북 원인 분석 6‧25 전쟁 61주년 기념 학술세미나 (통일부 주최 2011년 6월 21일) 발표 논문 pp.78~79 - ↑ 김일성(金日成)은 나의 제자(弟子)다? 삼팔선(三八線) 넘는 최동오씨담(崔東旿氏談) 민중일보(民衆日報) 1948/04/22
- ↑ 원세훈(元世勳, 1887 ~ 1959)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한국학중앙연구원
- ↑ 金박사도 昨朝에 北行, 방해를 일축 후 病軀 이끌고 發程 자유신문 1948년 04월 22일 01면 - 김규식 방북 동행자 명단 나옴.
-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의 "[연구과제명]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 안드레이 란코프 (엮음) 지음, 전현수 옮김, 『소련공산당과 북한 문제 : 소련공산당 정치국 결정서(1945∼1952)』 경북대학교출판부, 2014년 08월 20일
- ↑ 남북연석회의 :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
- ↑ [김효선 칼럼] 거물 간첩 성시백의 포섭작전 내막 : 간첩 성시백이 김구에게.."장군님도 선생을 대통령으로 모시고자..." 뉴데일리 2010-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