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하 독립운동의 실상을 여러 측면에서 알아본다. 어느 증언이든 한 단면이며 전체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닥종이 인형 작가 김영희의 증언

닥종이 인형 작가인 김영희는 그녀의 책 <아이를 잘 만드는 여자>의 pp.307~309 에서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그는 일찍이 사람에 대한, 어느 이상주의 단체에서도 실망을 한 적이 있었다.

나는 아버지가 증오하던 신문기사를 기억하는데, 독립운동가의 사진이 동그랗게 신문에 났을 때 그는 부들부들 떨었다.

아버지는 그 독립운동가 사진에 탁 하고 침을 뱉고는 그 사진을 손가락으로 동그랗게 후벼 팠다.

그 행동은 미루나무 같이 훤칠하고 도량 넓은 아버지의 행동이 아니었다.

그 기사는 독립운동가 아무개가 가난과 병고에 시달린다는 내용이었다.

아버지는 늘 잔인하게 그런 기사를 대했다.

 "요즘 세상 총질을 못해서 굶는가!"

아버지는 만주 시절, 그의 정의와 혈기로 독립군에 가담한 적이 있었다.

그것은 젊은 청년으로 당연한 행동이었다.

나라가 없는 민족이 제일 먼저 할 일은 다시 내 땅을 찾는 것이었고, 또한 할아버지에 대한 일본인들의 탄압도 중국으로 가게 된 큰 이유였다.

아버지는 그의 과거사를 처녀가 된 나에게 말할 때 눈이 빛나곤 했다.

그 내용은 그때 나에게 깊은 생각을 하게 하였다.

당시 독립군 군사 훈련은 수수밭이나 갈대밭에서 했다.

만주의 갈대나 수수는 키가 커서 그들의 행동을 감출 수 있었다.

그의 말을 빌면 독립군도 여러 파가 있어 머리가 아플 정도라고 했다.

아버지가 존경했던 ㅈ 선생의 뛰어난 능력을 믿고 그의 청춘을 대한의 독립에 바치려고 했다.

 "영희야. 글쎄 죽일 놈들이 독립군이랍시고 가을만 되면 재만주 교포 마을에 나타나 짐승보다 못한 짓들을 했어."

아버지는 그 장면들을 설명할 때 몸을 벌벌 떨며 흥분했다.

가난한 교포들이 가을걷이를 끝내고 양식을 재어 놓으면 싸락눈 오기 전에 독립을 표방한 도적떼들이 엽총을 메고 나타났다.

재만 교포들을 마을 마당에 모이게 해놓고 헛총질을 해대며 독립자금을 내놓으라고 위협했다.

부녀자 반지부터 수수, 좁쌀까지 겨울에 먹을 미음 쑬 것도 안 남기고 싹 쓸어가면, 그 다음은 다른 도적떼가 독립군을 빙자해서 나타나고…….

그들의 횡포는 식구 앞에서 부녀자를 겁탈하든지 장정을 인질로 잡아가 귀를 잘라 보내고 돈으로 바꾸자고 협박하는 것이었다고 했다. 아버지는 말했다.

독립군이라 칭한 그들은 하나같이 머리에 떡칠을 하듯 머릿기름을 바르고 달빛 아래 나타나면 머리통이 철판같이 번들번들 빛났다고 했다.

아버지는 독립운동의 꿈에 자신을 잃었다.

 "영희야, 어느 놈이 진짜인지 모르는 판에 도적놈 소리나 면하고자 통분을 하며 독립군에서 나와버렸어."

아버지의 말은 쓸쓸했다.

아버지는 잘 알려진 몇몇 독립운동가도 존경을 하지 않았다.

아버지는 유명한 독립운동가의 그림자를 상세히 알고 있어 오히려 실망만 한 것이다.

 "유관순 한 분만 독립운동을 제대로 했지 바지 입은 놈들 제대로 독립운동 한 것 못 봤다. 그저 제 욕심이 많아, 나라 없는 주제에 권력 다툼이나 했지. 그래도 독립이 되니 제일 먼저 설치는 놈들이 그 도적떼라니, 꾹 참고 독립을 기원한 사람들 딛고 올라가서 한 자리씩 맡아보려고……."

그리고 그는 또 말했다.

"진짜 독립운동한 사람들은 못 살아남고 다 죽었어. 해방 후 꾀 많은 독립군들은 기회를 얻어 한 자리 하고, 총질이나 해대던 무식한 놈들은 세상이 변한 후 총질 못해 가난하게 살고……."

일제시대 신문 기사들을 보면 독립단과 마적단의 행동이 구분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런 기사들이 모두 조작일 리는 없을 것이므로, 김영희 부친의 말이 틀렸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김학철의 봉오동 전투 회고

“내 경험으로 볼 때 봉오동 전투니 청산리 전투에서의 전과는 적어도 300배 이상 과장된 것이에요.”(조선의용군 최후의 분대장 출신 ‘김학철 평전’ 중에서)

김학철의 봉오동 전투 관련 회고 부분이다.

“우리 독립운동사는 신화에 가까울 정도로 과장이 있었다는 것은 분명해요. 때로는 민족의 자부심을 고취하기 위해 신화가 필요한 것도 사실이겠지요. 그러나 과장과 인위적인 조작을 통해 과거사를 미화시키는 작업에서 벗어날 때가 된 것 같아요. (중략) 과장하는 만큼 설득력이 떨어지는 것이잖아요? 이제는 역사와 전설을 구분해도 좋을 만큼 이 사회가 성숙하지 않았습니까? 독립군의 대일 무장항쟁만 해도 그래요. 1998년 10월 23일자 ‘조선일보’에 실린 글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어요. 1920년 6월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 157명을 사살하고 300여명을 부상시켰으며, 같은해 10월 청산리 전투에서는 일본군 1개 여단을 사살한 것으로 전하고 있어요. 내 경험으로 볼 때 봉오동 전투니 청산리 전투에서의 전과는 적어도 300배 이상 과장된 것이에요. 우리의 항일무장투쟁은 악조건 속에서 살아남은 정신의 투쟁이지, ‘대첩’이나 ‘혁혁한 전과’는 불가능한 전력이었어요. 일본군과 맞닥뜨렸을 때 열에 아홉 번은 졌어요. 어쩌다가 한 번 ‘이긴’ 경우도 일본군 서너 명 정도 사살하면 대전과로 여겼어요. 한 마디로 말하자면 윶진 아비마냥 자꾸 지면서도 일본이 무조건 항복하는 날까지 계속 달려든 것입니다. 그 불굴의 정신만은 대단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김학철 평전’, 실천문학사, 2007)

현순(玄楯, 1880 ~ 1968)의 경우

일반적으로 알려진 그의 생애는 임시정부 요인과 기독교 목사로 독립유공자로서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그의 문집에 나온 6.25 사변 무렵에 지은 시들은 김일성을 찬양하고, 이승만을 국적(國賊), 맥아더 원수를 맥흉(麥凶)이라 칭하며, 남침한 인민군의 승리를 원하는 극도의 반한 친북적 성향을 드러내고 있다. 자신은 미국에서 편안히 살면서 6.25에 참전한 미군을 비판하고 김일성이나 찬양하던 사람이 1963년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수여하는 훈장을 거리낌없이 받는 이중적인 행태를 보였다. 한국 정부는 모르고 수여했다지만, 대한민국의 멸망과 북한의 승리를 원하던 사람이 왜 북한에 훈장을 달라고 하지 않고, 망하기를 바라던 한국정부의 훈장을 받은 이유는 무엇인가?

임시정부 요인이었고, 기독교 목사로 미국에 주로 거주했던 그가 열렬한 공산주의자였을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 같다. 아마도 이승만에 대한 극도의 증오심 때문에 김일성을 찬양하고 6.25 때도 북한이 이겨 한국이 망하기를 원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p.110 :

訟 金日成(김일성)將軍

扙義擧兵救國豪 風餐露宿着寒袍
鬥山鬥水神非困 攻陣攻營意自高
施政摠爲民主略 啓工都在革新旄
絶倫偉業綿連勢 必合分邦鎭亂濤

p.111 :
誡國賊 李承晩(이승만) 一九五〇年 三月 十五日
人凶嘆心爾猩獌 東敗西喪到末年
國誅當頭如甕鼠 地無容所訴何天

祖國抗戰 一九五〇年 十二月 三十一日
進退抗爭逐殺年 與中合勢造生年
誅凶破帝忘年月 正計平和億萬年

麥牙德(맥아더)之免職 一九五一年 三月中
違法侵鮮殺弱民 搖頭轉腹眼無人
迫來世論誰能拒 打倒麥凶復國春

p.112 :
輓 許憲(허헌)先生 最高人民委員長 一九五一年 九月 二十三日
許翁逝去訃音傳 自北至南弔哭連
內凶未除憐分地 外賊不消恨滿天
千千携手成原力 萬萬合心拒火烟

倍達大魂能蓋世 蠻兵自退挽光年

공산주의자들이 독립 유공자가 될 수 있나?

김구의 공산주의자 비판

김구는 해방 후 말년에 김일성과의 남북협상을 고집했던 것과는 달리, 독립운동 시기에는 공산주의자들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다. 백범일지에 그러한 내용이 많이 나온다.

백범일지의 한 대목이다.

예를 들면, 이상룡의 자손은 공산주의에 충실한 나머지 살부회(殺父會)까지 조직하였다. 그러나, 제 아비를 제 손으로 죽이지 않고 회원끼리 서로 바꾸어서 아비를 죽이는 것이라고 하니 아직도 사람의 마음이 조금은 남은 것이었다. 이 붉은 무리는 만주의 독립운동 단체인 정의부(正義附)∙신민부(新民府)∙참의부(參議府)∙남군정서(南軍政署)∙북군정서(北軍政署) 등에 스며 들어가서 능란한 모략으로 내부로부터 분해시키고 상극(相剋)을 시켜서 이 모든 기관을 혹은 붕괴하게 하고 혹은 서로 싸워서 여지없이 파괴해 버리고 동포끼리 많은 피를 흘리게 하니 백광운(白狂雲, ?~1924)∙김좌진(金佐鎭)∙김규식(金奎植, 1882~1931) 등 우리 운동에 없어서는 안 될 큰 일꾼들이 이 통에 아까운 희생이 되고 말았다.

자유시 참변

고려인 강제이주

독립운동을 웃음거리로 만든 김일성

북한 김일성의 항일전공이라는 것은 남의 것을 훔친것이 아니면, 터무니 없이 부풀린 것이 거의 모두이다. 그는 최고 권력자가 되어 다른 사람의 항일공적은 모두 말살하고, 자신이 북한을 해방시킨 것으로 조작했다.

탈북자들의 증언에 의하면 북한은 1963년 8.15 행사 때까지는 소련군이 북한을 해방시켰다고 하여 경축행사 때마다 이를 강조하고 소련에 감사표시를 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후부터 소련은 지우고 김일성이 북한을 해방시킨 것으로 역사를 조작해 나갔다고 한다.[1]

2012년에 탈북한 김영운 씨는 70세의 노인이십니다. 그 분은 50년 전(1963년) 양강도 혜산에서 김일성이 참가한 8.15 해방 기념보고회를 아직도 기억하고 있으며 그때 불렀던 해방의 노래를 기억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양강도 혜산에서 8.15 해방 기념행사가 크게 열렸다. 평양에서 김일성이 내려오고 소련 사람들도 많이 참가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상임위원회 내각 부수상인 이주현이 내려와 행사를 지도하였다. 혜산이 생긴 후 처음 으로 집단체조를 했고, 김일성도 연설하고 소련 대표도 연설하였다."고 증언했습니다. 김영운 씨는 "그땐 혜산이 온통 꽃 바다로 장식되고, 조소문화회관에서는 소련군대의 업적을 전하는 공연을 진행하였다. 소련이 없으면 오늘의 해방도 없다고 생각할 정도였다. 김일성과 스탈린 초상화가 곳곳에 걸려있었고 조소친선을 형상한 유화들이 거리마다 내걸렸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1963년 당시 거리를 행진하며 불렀던 8.15해방 노래를 지금도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쏘베트 용사들이 찾아준 내 나라 영광 찬 강산을 낙원으로 꽃폈네 항일전통 빚내며 천리마로 달리니 5개년의 큰 계획 앞당겼다네 아 ~ 슬기로운 이 나라 자유의 땅 우리는 언제나 소련과 함께 있네’ 그러던 북한은 1963년 이후 소련에 대한 업적 내용을 지우기 시작했습니다. 각 도마다 세워졌던 조소기념탑도 소리 없이 사라져버렸고 문화회관 옆에 위치했던 조소문화회관도 하나 둘 자취를 감추었습니다. 63년 후부터는 해방의 은인이 소련이라고 거리마다 가득했던 구호 판들도 더는 볼 수 없었습니다. 그때부터 이상하게 해방 절만 다가오면 기업 소마다 당위원회 조직부서들이 직장별• 작업반별 정치강연을 조직했습니다.

내용인즉 오늘의 해방은 김일성 항일무장투쟁의 승리로 이룩했다는 것입니다. 우리 인민을 일제의 억압 속에서 해방시킨 것은 김일성이라고 주입을 하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당시 대부분 북한 주민들은 해방을 소련군의 업적으로 알고 있었고 또 정권도 그렇게 칭송했었는데 갑자기 해방절 18주년 행사 이후에는 소련이 역사 속에서 서서히 사라지는데 대해 의아해했습니다.

함께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