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지리아 연방 공화국 | |||
일반 정보[1] |
|||
Unity and Faith, Peace and Progress
(통일과 신념, 평화와 진보) |
|||
영어 |
|||
로마문자 |
|||
일어나라 동포들이여 (Arise Oh Compatriots, Nigeria’s Call Obey) |
|||
206,139,587명 / 7위 (2020) |
|||
139명/㎢ / 53위 |
|||
|
|||
5.4% / 7위 (2019. 유엔) |
|||
62.1% / 20위 (천분율, 2015~2020) |
|||
61.3% / 190위 (위키, CIA 월드 팩트북, 2013년) |
|||
52.29세 (남 : 51.97살, 여 :52.61살, 2018, 유엔) |
|||
위치 |
![]() |
||
3923,768km² / 32위 |
|||
순수 대통령중심제 |
|||
집권당 |
- (참고: 나라별 지도자) |
||
대통령 |
|||
부통령 |
|||
206,700백만 $ / 41위 (2020 유엔자료) |
|||
1인당 GDP |
2,028 $ / 136위 (2018, 세계은행) |
||
1,181,399백만 $ / 24위 (2020, IMF) |
|||
1인당 GDP(PPP) |
5,861 $ / 129위 |
||
기타 정보 |
|||
1960년 10월 1일 /영국 |
|||
남 1980, 북 1976 |
|||
566, NG, NGA |
|||
.ng |
|||
+234 |
|||
0.534 / 158위 |
|||
428명 (2019, KOSIS) 시민권자+영주권자: 1명 반체류자+유학생 : 427명 |
|||
보기 • 편집 • 본문 |
영어: Nigeria
개요
나이지리아는 서아프리카에 있는 나라로 북쪽으로 사하라 사막이 위치해 있서, 183,523,000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아프리카에서는 1위이다.
(현재는 2억이 넘었고 세계로 보면 6위권 인구대국이다)
아프리카 최대인구에 영토도 넓어서 아프리카에서는 지역 강국에 속하는 나라다. 아프리카 내에서 경제 규모는 4위 정도다.
지리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서부에 중앙에 위치한 국가로, 북쪽은 사하라 사막이 있어 건조하며 남쪽은 열대우림과 해안의 저지대다.
주변 국가로는 서쪽으로 베냉, 북쪽으로는 니제르, 북동쪽으로 차드, 동쪽으로는 카메룬이 위치하고 있다.
니제르강과 베누에강이 국토 중앙에서 합류하고 있으며, 농업이 발달해 있다. 석유가 풍부한 니제르 델타 지역은 경제의 중심지이다.
역사
나이지리아는 수천 년 전부터 하우사, 요루바, 이보 등 다양한 민족이 독자적인 문명을 이루며 살아왔다.
19세기 말부터 영국 식민 지배를 받았으며, 1960년 10월 1일 독립하였다.
독립 이후 군사 쿠데타와 내전, 민족 간 갈등이 반복되며 정치적 불안정을 겪고 있다.
정치
나이지리아는 대통령 중심제의 연방공화국 체제를 채택하고 있다. 36개 주와 수도 아부자를 포함한 연방 수도 특별구로 구성되어 있다.
내전 및 민족 간 갈등이 심하어 정당 간의 경쟁이 치열하다. 또한 정부의 부정부패가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외교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연합(AU)과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OWAS)의 핵심 회원국이다. 유엔 평화유지군 파병과 국제 기후변화 협정 등에도 참여하고 있다.
국내의 인권 문제와 부패 문제로 인해 서방 국가들로 부터 비판을 받기도 한다.
경제
나이지리아는 인구 2억명의 세계 7위국으로 아프리카에서는 최대를 자랑하고 있다. 1인당 GDP가 2,028 달라로 세계 136위[2]의 후진국가다.
나이지리아는 산유국으로 석유 생산과 수출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농업, 제조업, IT 등 다양한 분야로 다각화하고 있다. 그러나 높은 실업률, 빈부 격차, 인프라 부족 등이 경제 발전의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여담
한국 축구 감독이기도 했던 본프레레가 이 나라에서는 거의 히딩크급 위상이라고 한다.
나이지리아를 올림픽 축구에서 우승시킨 감독이기 때문이다.
월드컵 32강 예선 조편성에서 계속 연속으로 아르헨티나를 만났던 팀이기도 하다. 6번 진출했는데 5번 같은조였다.
함께보기
지구의 대륙 | ||||||
---|---|---|---|---|---|---|
아시아 | 아프리카 |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유럽 | 오세아니아 | 남극 |
독립국 |
|||||||||||
속령 |
|||||||||||
미승인국 |
각주
- ↑ 자세한 사용법은 틀:나라 정보 참조.
- ↑ 2018, 세계은행
- ↑ (소말릴란드 - 푼틀란드 - 남서부 소말리아)
- ↑ 프랑스 해외주. (동아프리카)
- ↑ 프랑스 자치령, 코모로 제도의 섬 중 하나로, 다른 섬들이 독립할 때 오로지 이 섬만 주민들이 프랑스 자치령으로 남기를 희망해서 지금도 독립하지 않고 있는 지역 (동아프리카)
- ↑ 모로코 실효지배중, 모로코로부터 독립운동 중인 지역, 대부분의 지역을 모로코가 실효 지배 중이라 보고 있다. (북아프리카. 서아프리카)
- ↑ 스페인의 속령
- ↑ 영국 자치령 (남아프리카).
- ↑ 스페인령 북아프리카에 위치한 항구 도시들. 섬들인 플라사스 데 소베라니아를 제외하고, 아프리카 대륙 본토에 남아있는 유럽 국가들의 영토는 이 두 도시뿐이다. 국경을 접하고 있는 모로코는 끊임없이 반환을 요구하고 있지만 스페인은 무대응.
- ↑ 영국 자치령 (남아프리카)
- ↑ 탄자니아 자치령으로, 1963년 영국에서 독립한 후 독립 국가로 있다가 1964년 탕가니카(지금의 탄자니아)와 통합 (동아프리카)
- ↑ 이집트와 수단 국경지대에 위치한 땅.
- ↑ (서아프리카)
- ↑ 소말리아 내전에서 독립을 선언한 사실상의 국가 (동아프리카)
- ↑ 영국 자치령 (서아프리카).
- ↑ 2012년 4월 투아레그족을 중심으로 말리 영토 절반을 차지하며 새롭게 나타난 나라. 하지만 아프리카 연합은 인정하지 않기로 했다. 이후 소멸되었다. (서아프리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