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남위키 네모.png 우남위키는 자유민주주의, 공정한 세계시장 그리고 북한해방을 지향합니다.
진실, 공정, 인간 존엄성을 위한 파수꾼 (真実、公正、人間の尊厳のための番人, a watchman for truth, fairness, and human dignity.)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부국강병 박정희와 경제성장을 이끈 전두환, 노태우, 이명박, 박근혜 그리고 반국가 세럭과 부정선거 카르텔을 밝히려 했던 윤석열 대통령, 이들은 대한민국의 진정한 영웅입니다.

감비아와 관련된 드립은 혈맹 감비아 문서로...

1. 개요

감비아는 아프리카 대서양 연안에 있는 국가이다. 대서양에 접한 감비아 강의 하구를 제외하고는, 세네갈에 둘러싸여 있다. 수도는 반줄이다.

국토는 감비아강을 따라 동서로 길쭉하게 뻗은 형태의 나라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작은 국가로도 알려져 있다.



2. 지리

국토는 11,295㎢으로 세계 163위로 아주 작은 국가다.(경상북도보다 작고 전라북도보다 약간 튼 정도) 감비아강을 중심으로 동서로 길게 뻗어 있으며, 남북 너비가 좁은 형태이다. 북쪽과 남쪽 모두 세네갈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내륙형 국가이다.

국토의 폭은 가장 넓은 곳도 약 50km 내외, 길이는 약 400km에 불과하다.


3. 역사

감비아 지역은 고대부터 말리 제국과 같은 서아프리카 왕국들의 영향을 받은 지역이다.

15세기 포르투갈 탐험가들이 처음으로 이 지역에 도달한 이후, 유럽의 무역 거점이 되었다.

17세기에는 영국이 식민 통치를 시작하였으며, 노예무역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1965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고, 입헌군주국으로 출발하였다.

1970년 공화국으로 전환되며 대통령 중심제를 채택하였다.

1994년 야흐야 자메가 쿠데타로 집권한 이후 오랜 독재정치가 이어졌다.


4. 정치

감비아는 대통령 중심제 공화국이다. 대통령은 국가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이며,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


5. 대외 관계

감비아는 아프리카 연합,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 그리고 유엔의 회원국이다.

2013년에는 영연방(Commonwealth)을 탈퇴하였으나, 2018년에 다시 가입하였다.


6. 경제

감비아의 경제는 농업 중심의 구조이다. 주요 작물은 땅콩이며,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7. 여담

감비아라는 나라가 대한민국 국민에게 알려진 것은 2017년 문재인 정권 통역사 출신 강경화라는 외교부장관이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72차 유엔총회에 참석해서 외교 성과랍시고 한 것이 감비아와의 회담이란다. 뉴스에서는 감비아 외교장관과 북핵 문제 해결 공조 및 양자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외교부에서 보도했다.#


2017092401002139700113301.jpg
강경화 외교장관과 우사이누 다르보 감비아 외교장관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회담했다. (외교부) ⓒ News1



감비아에서 유명한 게 백인 중년이상의 여성들이 여기로 흑인 섹스 관광을 온다는 것. 감비아 남자들 입장에서는 싫을 것 같기도 하지만,

백인 중년여성과 결혼하면 해당 국가 시민권도 얻을 수 있고, 여자가 죽으면 유산도 받을 수 있기에 경제적으로 로또를 맞는 거랑 비슷하다고.

이런 식으로 호스트 비슷한 생활을 하는 젊은 감비아 남자를 범스터라고 한다고

이런 섹스관광 때문에 감비아 국가 이미지에 좋지 않다며 비판적인 의견도 있다.

8. 함께보기

지구의 대륙
아시아 위치.png
아프리카 위치.png
북아메리카 위치.png
남아메리카 위치.png
유럽 위치.png
오세아니아 위치.png
남극 위치.png
아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오세아니아 남극


9. 각주

  1. 자세한 사용법은 틀:나라 정보 참조.
  2. (소말릴란드 - 푼틀란드 - 남서부 소말리아)
  3. 프랑스 해외주. (동아프리카)
  4. 프랑스 자치령, 코모로 제도의 섬 중 하나로, 다른 섬들이 독립할 때 오로지 이 섬만 주민들이 프랑스 자치령으로 남기를 희망해서 지금도 독립하지 않고 있는 지역 (동아프리카)
  5. 모로코 실효지배중, 모로코로부터 독립운동 중인 지역, 대부분의 지역을 모로코가 실효 지배 중이라 보고 있다. (북아프리카. 서아프리카)
  6. 스페인의 속령
  7. 영국 자치령 (남아프리카).
  8. 스페인령 북아프리카에 위치한 항구 도시들. 섬들인 플라사스 데 소베라니아를 제외하고, 아프리카 대륙 본토에 남아있는 유럽 국가들의 영토는 이 두 도시뿐이다. 국경을 접하고 있는 모로코는 끊임없이 반환을 요구하고 있지만 스페인은 무대응.
  9. 영국 자치령 (남아프리카)
  10. 탄자니아 자치령으로, 1963년 영국에서 독립한 후 독립 국가로 있다가 1964년 탕가니카(지금의 탄자니아)와 통합 (동아프리카)
  11. 이집트수단 국경지대에 위치한 땅.
  12. (서아프리카)
  13. 소말리아 내전에서 독립을 선언한 사실상의 국가 (동아프리카)
  14. 영국 자치령 (서아프리카).
  15. 2012년 4월 투아레그족을 중심으로 말리 영토 절반을 차지하며 새롭게 나타난 나라. 하지만 아프리카 연합은 인정하지 않기로 했다. 이후 소멸되었다. (서아프리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