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jpg 대한민국의 대통령
우파계열 좌파계열
제1-3대 제4대 제5-9대 제10대 제11-12대
이승만 윤보선 박정희 최규하 전두환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노태우 김영삼[1]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제18대 제19대 제20대
박근혜 문재인 윤석열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 · 임시 정부 · 대한민국 · 북한
전두환.jpg
전두환
全斗煥
직책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
(1980년 8월 27일 ~ 1981년 2월 24일)
←전임후임→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1981년 2월 25일 ~ 1988년 2월 24일)
←전임후임→

출생일 1931년 1월 18일
출생지 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
학력 육군사관학교
부모 아버지 전상우, 어머니 김점문
배우자 이순자
자녀 전재국, 전효선, 전재용, 전재만
종교 불교

소개

전두환(全斗煥)은 대한민국의 11~12대 대통령이다.

1931년 1월 18일 경상남도 합천에서 태어났다. 1947년 대구희도초등학교, 1951년 대구공업고등학교, 1955년 육군사관학교를 제11기로 졸업하였다. 1959년 1월 24일, 이규동 장군의 장녀 이순자씨와 결혼했다. 1959년 6월 미 육군의 심리전 교육연수 과정을 이수한데 이어 1960년 7월 미육군 보병학교 레인저 과정을 수료했다. 1961년 5.16혁명 직후인 6월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실 민원비서관을 지낸 뒤 1964년 8월 고등군사반 과정을 마치고 1965년에는 육군대학을 졸업했다. 1967년 수경사 30대대장을 역임했다.

1970년 11월 9사단 29연대장으로 월남전에 참전하였고, 1973년 1월 육군 준장으로, 1977년 2월 육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1978년 제1사단장 재임 중 1979년 3월 국군보안사령관으로 발탁되었다. 그해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시해되고 계엄령이 선포되면서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장을 맡게 되었다. 다음해인 1980년 봄의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설치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의 상임위원장으로 개혁작업을 수행했다. 이어 8월 대장으로 예편하였으며, 1980년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에 의한 간접선거를 통해 9월 제11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1981년 3월 개정 헌법에 따라 출범한 제5공화국의 제12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국정의 기조를 개방과 자율로 전환하면서 안으로는 획기적인 물가 안정의 토대위에 10%대의 고도성장을 이룩하여 물가/성장/국제수지 흑자라는 3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했다. 88서울올림픽대회를 유치하여 국가의 위상을 끌어 올렸고 교육개혁과 문화 창달의 기반을 쌓았다. 밖으로는 한미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정상외교의 길을 열어 놓았고, 제3세계로 외교지평을 확대하면서 북방외교의 초석을 깔아 놓았다. 무엇보다도 1988년 2월 단임을 실천하고 퇴임함으로써 우리 헌정사에 평화적 정부 이양의 전통을 세웠다.


일생

결혼

전두환은 육군사관학교 재학 시에 축구부장으로 활동했다. 공부보다는 운동에 더 적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육군사관학교 참모장을 맡고 있던 이규동 장군이 마침 이때 3군 사관학교 통합 체육대회를 준비하고 있었는데 전두환이 운동도 잘하고 리더십 있는 모습이 좋아 보였던 것인지 전두환 생도를 눈여겨보게 되었다.[2] 그 인연으로 1958년 1월에 이화여대 의과대학에 재학 중이던 이규동의 딸 이순자와 전두환은 결혼을 했다.

박정희와의 인연

전두환이 소위로 임관한 후 장인인 이규동 장군을 만나기 위해 6관구사령부(영등포에 소재, 현재는 사라짐)를 찾았는데 그날 마침 그곳에 박정희가 와 있었다. 이것이 둘의 첫 만남이라고 전두환의 측근인 허화평이 진술하였다. [3] 이후로도 박정희는 전두환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가지고 있었던 것인지 5.16 정변 성공 이후 박정희가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으로 재임하던 기간에 당시 육군 대위였던 전두환과 다음과 같은 대화를 나누었다고 한다.

박정희: 자네, 전역(轉役)부터 하게나.

전두환: 네? 각하, 뭐라고 하셨습니까.

박정희: 전역해서 공화당에 들어가 정치를 하게.

전두환: 네?… 각하, 저는 정치를 모릅니다. 정치를 생각해 본 일도 없고, 저와 안 맞을 것 같습니다.

박정희: 다른 사람들은 서로 가려고 하는데 자네는 왜 안 가려 하나.

전두환: 정치는 어렵고 육군 대위인데 돈도 없고… 조건도 안 맞고… 여러 형편상 제게 안 맞는 것 같습니다.

박정희: 도와줄 테니 해보게.

전두환: 그럼, 가족하고 의논해 보겠습니다.

박정희: 자네는 자네 문제를 가족에게 허가를 받아야 하나?[4]

군인을 그만두고 정치할 것을 강력히 권유하는 박정희에게 어떻게 거절의 의사를 표현해야 할지 감 조차 잡히지 않는 고민 속에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했을 전두환 대위는 다음날 박정희를 찾아가 다시 한번 이야기했다.

전두환: 저는 아무래도 군에 남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박정희: 알았네. 가서 열심히 공부하고 군대생활 잘 하게나.[5]

다음 날 박정희의 심경에 무슨 변화가 있었는지는 모르나 이리하여 전두환은 군(軍)에 남게 되었다.

보안사령관이 되기까지

1963년 소령 진급과 동시에 중앙정보부로 파견을 나가 1년 남짓한 기간 근무했으며, 중령 진급과 동시에 청와대 30경비대대장으로 부임하여 청와대 외곽 방어를 담당했다. 그런데 마침 전두환의 재임기에 1.21 사태가 벌어지고 만다.[6] 하지만 전두환의 책임은 아니었기에 특별한 징계를 받거나 하진 않았다. 1970년에는 주 월남 백마부대 29연대장으로 베트남전에 참전했다. 이듬해에 다시 한국에 복귀해 1공수특전여단장을 역임했다.

유신체제가 막바지로 치닫고 있던 1979년 3월 5일 전두환은 마침내 국군보안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0.26이 일어나기 불과 6개월 전이었다.


업적

10.26 사태

  • 10.26 사태 때 미리 정보를 입수하고 김재규를 체포하여 대한민국의 적화를 막았다. 자세한 사항은 10.26 사태 참고.

물가 안정

김재익 등용

  • 김재익을 경제수석으로 임명하여 정보화 정책, 수입자유화 정책 등을 시행하게 하였다
  • '경제는 자네가 대통령이야'라는 말을 하며 신뢰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대학등록금

  • 대학등록금도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를 통해 감당할 수 있을만큼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전두환대학등록금.jpg

유통 단순화

  • 복잡한 농수산물 유통 구조를 단순화하여 서민들도 저렴한 가격에 농수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01280020920101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1-28&officeId=00020&pageNo=1&printNo=18559&publishType=00020

삼청교육대

  • 사회악 일소 특별 조치 발표 (1980년 8월 4일) 후 삼청교육대를 설치하여 정치비리자, 부정축재고위공무원, 불량배 등 사회에 악영향을 끼치는 무리들을 순화 교육시켰다

국도 건설

  • 박정희 대통령이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하였다면, 전두환 대통령은 전국적으로 국도를 확대 건설하였다. 지금도 오토바이로 전국 일주를 하려면, 거의 대부분 전두환 대통령 임기 중 건설된 국도를 이용해야만 할 정도이다.

포천전두환공덕비.jpg


스포츠 육성

  • 프로야구(KBO)를 창단(1981)하여 스포츠 산업 및 문화 산업을 장려, 육성, 보급하였다
  • 좌파들은 이를 3S 우민화 정책이라고 헐뜯는데, 이는 1988년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 2002년 월드컵 4강 진출, 2015 프리미어12 한국 우승 등의 스포츠 역사에서 대한민국의 빛나는 업적과 박찬호, 선동렬, 안정환, 박지성, 손흥민, 김연아 등의 스포츠 스타들의 탄생 및 그로 인한 수십 수백억이 넘는 부가가치 및 세계적인 국격 상승 등의 부대 효과를 모두 무시하는 말도 안되는 헛소리일뿐이다.

88올림픽.png

  • 특히 1981년, 제24회 올림픽의 개최지가 서울로 정해지지 않았더라면 지금의 대한민국이 없었을지도 모른다는 점에서 박정희 대통령보다 더 높게 평가되기도 한다.
  •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을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올림픽 개최를 위한 초석을 다졌다

사교육 금지

  • 과외 및 선행학습을 금지하였다. 이는 재학생에게 예체능을 제외한 교과과정의 사교육을 금지한 것으로, 재수생을 위한 재수학원 및 특기생들을 위한 체육,음악,미술 학원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 사교육 금지는 가난하게 태어났어도 열심히 공부하면 출세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고 이는 빈부격차 줄이기에 큰 공헌을 하였다

평화적인 정권이양

  • 대통령 직선제 시행 (6.29선언) 및 대한민국 최초로 평화적인 정권 교체를 이루어냈다

대일 경제외교

  • 대일본 외교에 있어서는 전두환 정권이 가장 모범적이었다.


평화의 댐

  • 전두환 전 대통령이 건설한 평화의 댐은 2020년 수해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여 큰 피해를 막았다.

기타

  • 이윤상 납치 사건을 대응하면서 "살려보내면 너도 살고, 죽여보내면 너도 죽는다"라는 어록을 남겼다
  • 대통령 퇴임후 백담사에서 2년간 생활하였다
  • 2013년 추징금 환수 과정에서 오 나의 여신님 포스터가 나와서 오덕후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다
  • 일베저장소에서 엔젤두환으로 불리기도 한다
  • 많은사람들이 우파로 착각하는 정치인이다.많은 극우단체에 의해 지지받기 때문.다만 이론적으로만 보면 전두환은 우파가 아닌 좌파에 가깝다.우파는 개인의 정치자유 및 자유시장을 장려하는데 전두환은 경제적으로 국제기업을 파괴했고 정치적인 자유 또한 허용하지 않았다.이런 사람이 과연 우파인가?

저서


연보

역대 대통령관련 구술채록 사업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 PDF 파일 원문 - 국립중앙도서관
pp. 122~147 전두환 전 대통령 연보


참고 자료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자필 진술(上) "본인이 부족한 점 많지만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과 반공 일념만은 확고" pennmike 2018.11.29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자필 진술(下) "미국 교포들의 ‘망명정부 수립' 제안 거부" pennmike 2018.11.29
전두환 피의자 신문조서(上)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절대 조작 아냐” pennmike 2018-11-30
전두환 피의자 신문조서(中) “12·12 상황으로 다시 돌아가도 그때와 똑같이 행동할 것” pennmike 2018-12-01
전두환 피의자 신문조서(下) "박정희는 혁명으로 집권, 나는 생각 없었는데..." pennmike 2018-12-02
1979년 10월 26일~1980년 12월 31일 제5공화국 탄생까지의 주요일지 pennmike 2018-12-04
노태우 진술조서 "전두환 장군, 눈물 흘리며 대통령직 수락" pennmike 2018-12-05
신현확 진술조서 "김정렬 씨가 최규하 대통령 하야 적극 권유" pennmike 2018-12-06
최규하 진술조서, 처음부터 끝까지 "답하지 않겠습니다" pennmike 2018-12-07


관련 사이트


각주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대수 성명 재임
제1공화국
1 이승만 1948년 7월 24일 ~ 1952년 8월 14일
2 이승만 1952년 8월 15일 ~ 1956년 8월 14일
3 이승만 1956년 8월 15일 ~ 1960년 4월 27일
제2공화국
4 윤보선 1960년 8월 12일 ~ 1961년 5월 16일
제3공화국
4 윤보선 1961년 5월 16일 ~ 1962년 3월 23일
5 박정희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6 박정희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7 박정희 1972년 12월 27일 ~ 1978년 12월 26일
제4공화국
8 박정희 1971년 7월 1일 ~ 1972년 12월 26일
9 박정희 1978년 12월 27일 ~ 1979년 10월 26일
10 최규하 1979년 12월 6일 ~ 1980년 8월 16일
11 전두환 1980년 8월 27일 ~ 1981년 2월 24일
제5공화국
12 전두환 1981년 2월 25일 ~ 1988년 2월 24일
제6공화국
13 노태우 1988년 2월 25일 ~ 1993년 2월 24일
14 김영삼 1993년 2월 25일 ~ 1998년 2월 24일
15 김대중 1998년 2월 25일 ~ 2003년 2월 24일
16 노무현 2003년 2월 25일 ~ 2004년 3월 12일
2004년 5월 14일 ~ 2008년 2월 24일
17 이명박 2008년 2월 25일 ~ 2013년 2월 24일
18 박근혜 2013년 2월 25일 ~ 2017년 3월 10일
19 문재인 2017년 5월 10일 ~ 2022년 5월 9일
20 윤석열 2022년 5월 10일 ~ 2027년 5월 9일 [1]
  1.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