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정부 제4·5공화국 | |
임기 |
|
1980년 8월 27일~1988년 2월 24일 |
|
전임 |
|
후임 |
|
목록
| |
내각 |
|
여당 |
민주정의당 (1981.1.15.~1988.2.24.) |
선거 |
전두환 정부(盧泰愚政府, 1980년 8월 27일~1988년 2월 24일)는 박정희 정부에 이어서 들어선 대한민국 제5공화국의 정부다.
신군부라고도 하는데, 북한에서 만든 말이니 가급적 쓰지 말도록 하자.
박정희의 산업화를 완성한 정부라고 봐도 된다. 박정희 말기에 경제적 문제, 외채라든지 중공업의 중복투자 등등을 개선하고 독립이후 처음으로 물가안정을 이룩했다. 경제성장과 물가안정 한가지도 잡기 힘든 두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았다.
그것말고도 직선제 개헌을 결심한 건 전두환이었다 도리어. 직선제 하면 자신이 떨어진다고 반대한 노태우를 설득한 것이 전두환.
7년 단임 약속을 지키고, 최초로 평화적인 정권이양을 실현했다.
그것 말고도 통금제 해제, 연좌제 금지, 해외여행 자유화 등 민주주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한 정부였다. 자율과 개방이 5공의 목표였고, 실제로 그렇게 했다. 교복자율화나 장발단속 해제 학문의 자유 등등도 이때 처음으로 실현된 변화다.
518진압을 갖고 뭐라 하는데, 518진압은 전두환이 아닌 최규하가 대통령 때다. 전두환이 대통령 때인 줄 아는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518진압은 응당해야 하지만 전두환이랑 진압은 상관이 없다.
518당시 전두환은 대통령은 커녕 진압부대장도 아니었고 기무사령관 정보사령관이었다. 12.12이후 다 장악해서 뒤에서 조종했다는 음모론이 통설처럼 되어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전두환은 진압이후 몇달만에 대통령으로 추대되면서 억울하게 모든 걸 뒤집어 쓴 경우다.
5공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정서가 강하다. 윤석열이 대통령 후보일 때도 전두환이 경제정책은 잘했다라고 발언 했다가 좌파들의 역풍을 받았다. 거의 전두환과 5공은 악마화 되어 있는 수준
주요 선거
집권당
- 민주정의당 (1981.1.15.~1988.2.24.)
국무위원
직위 | 날짜 | |||||||||||||||||||
---|---|---|---|---|---|---|---|---|---|---|---|---|---|---|---|---|---|---|---|---|
1980년 9월 | 1981년 3월 | 1981년 4월 | 1981년 7월 | 1982년 1월 | 1982년 3월 | 1982년 4월 | 1982년 5월 | 1982년 6월 | 1983년 7월 | 1983년 10월 | 1985년 2월 | 1985년 7·8월 | 1986년 1월 | 1986년 8월 | 1987년 1월 | 1987년 5월 | 1987년 7월 | 1987년 9월 | 1987년 12월 | |
대통령 | 전두환 | |||||||||||||||||||
국무총리 | 남덕우 | 유창순 | 김상협 | 진의종 | 노신영 | 이한기 | 김정렬 | |||||||||||||
경제기획원 장관 | 신병현 | 김준성 | 서석준 | 신병현 | 김만제 | 정인용 | ||||||||||||||
국토통일원 장관 | 이범석 | 손재식 | 이세기 | 박동진 | 허문도 | |||||||||||||||
외무부 장관 | 노신영 | 이범석 | 이원경 | 최광수 | ||||||||||||||||
내무부 장관 | 서정화 | 노태우 | 주영복 | 정석모 | 김종호 | 정호용 | 고건 | 정관용 | 이상희 | |||||||||||
재무부 장관 | 이승윤 | 나웅배 | 강경식 | 김만제 | 정인용 | 사공일 | ||||||||||||||
법무부 장관 | 오탁근 | 이종원 | 정치근 | 배명인 | 김석휘 | 김성기 | 정해창 | |||||||||||||
국방부 장관 | 주영복 | 윤성민 | 이기백 | 정호용 | ||||||||||||||||
문교부 장관 | 이규호 | 권이혁 | 손제석 | 서명원 | ||||||||||||||||
체육부 장관[1] | 노태우 | 이원경 | 이영호 | 박세직 | 이세기 | 조상호 | ||||||||||||||
농림수산부 장관[2] | 정종택 | 고건 | 박종문 | 황인성 | 김주호 | |||||||||||||||
상공부 장관 | 서석준 | 김동휘 | 금진호 | 나웅배 | ||||||||||||||||
동력자원부 장관 | 박봉환 | 이선기 | 서상철 | 최동규 | 최창락 | |||||||||||||||
건설부 장관 | 김주남 | 김종호 | 김성배 | 이규효 | 최동섭 | |||||||||||||||
보건사회부 장관 | 천명기 | 김정례 | 이해원 | |||||||||||||||||
노동부 장관[3] | 권중동 | 정한주 | 조철권 | 이헌기 | ||||||||||||||||
교통부 장관 | 고건 | 윤자중 | 이희성 | 손수익 | 차규헌 | |||||||||||||||
체신부 장관 | 김기철 | 최광수 | 최순달 | 김성진 | 이자헌 | 이대순 | 오명 | |||||||||||||
문화공보부 장관 | 이광표 | 이진희 | 이원홍 | 이웅희 | ||||||||||||||||
총무처 장관 | 김용휴 | 박찬긍 | 박세직 | 정관용 | 장기오 | |||||||||||||||
과학기술처 장관 | 이정오 | 김성진 | 전학제 | 이태섭 | 박긍식 | |||||||||||||||
정무제1장관[3] | 정종택 | 오세응 | 이태섭 | 정재철 | 조기상 | 이종률 | ||||||||||||||
정무제2장관[3] | 공석 | 노태우 | 공석 | |||||||||||||||||
정무제3장관[4] | 공석 |
함께보기
![]() | ||||
---|---|---|---|---|
우파계열 좌파계열 | ||||
제1-3대 | 제4대 | 제5-9대 | 제10대 | 제11-12대 |
이승만 | 윤보선 | 박정희 | 최규하 | 전두환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노태우 | 김영삼[5] | 김대중 | 노무현 | 이명박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박근혜 | 문재인 | 윤석열 | ||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 · 임시 정부 · 대한민국 · 북한 |
제1공화국 (1948 ~ 1960) |
|
제2공화국 (1960 ~ 1963) |
|
제3공화국 (1963 ~ 1972) |
|
제4공화국 (1972 ~ 1981) |
|
제5공화국 (1981 ~ 1988) |
|
노태우 정부 (1988 ~ 1993) |
|
김영삼 정부 (1993 ~ 1998) |
|
김대중 정부 (1998 ~ 2003) |
|
노무현 정부 (2003 ~ 2008) |
|
이명박 정부 (2008 ~ 2013) |
|
박근혜 정부 (2013 ~ 2017) |
|
문재인 정부 (2017 ~ 2022) |
|
윤석열 정부 (202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