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역대 국왕
제1대태조 제10대연산군 제19대숙종
제2대정종 제11대중종 제20대경종
제3대태종 제12대인종 제21대영조
제4대세종 제13대명종 제22대정조
제5대문종 제14대선조 제23대순조
제6대단종 제15대광해군 제24대헌종
제7대세조 제16대인조 제25대철종
제8대예종 제17대효종 제26대고종
제9대성종 제18대현종 제27대순종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 · 임시 정부 · 대한민국 · 북한

朝鮮
大朝鮮國(대조선국)
영어: Joseon
(1392년~1897년)

개요

조선은 유학을 통치 이념으로 삼아 한반도를 505년 간 다스렸던 왕조이다. 고려신진 사대부의 지지를 등에 업어 무관 이성계가 건국하였고, 고종이 선포한 대한제국으로 계승되었다.

역사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조선전기와 조선후기로 나뉜다.

조선전기

중앙집권체제 완비

전임 왕조인 고려는 지방을 주현과 속현으로 나누어 주현에만 관리를 파견했던 것과 달리 조선은 모든 군현에 관리를 파견했다. 또한 고려 시대에 존재하던 차별적 지역인 향, 소, 부곡을 철폐하여 일반 군현으로 바꾸었고 여기에도 관리를 파견하였다.

불교의 쇠퇴

고려의 국교였던 불교의 영향이 그나마 남아있었다. 이는 태조가 무학대사를 왕사에 임명한 것과 건국 후 시간이 한참 흐른 명종대에 수렴청정을 행했던 문정왕후가 승려 보우를 신임했던 것 등에서 드러난다. 그러나 조선왕조가 성립될 때부터 숭유억불을 국시로 삼았기에 고려 시대에 비해 불교의 영향력은 현격히 낮았으며 날이 갈수록 불교세력은 약화되었다.

국방력의 약화

처음에 조선왕조는 상류층을 이루는 양반계층은 군관으로 복무시키고, 천민을 제외한 모든 평민들은 병사로 복무하게끔 하는 일종의 징병제도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양반계층은 점차 병역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도록 제도가 바뀌었으며, 평민 또한 직접 군대에서 복무하는 대신 군포를 지불하고 관청에서는 군포를 바탕으로 병사를 모집하는 일종의 모병제(방군수포제)로 바뀌었다. 그러나 국부의 상당수를 지니고 있던 양반이 군에 어떠한 기여도 하지 않고, 또 관청에서 병사를 모집하는데 써야 할 군포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서 조선 중기에 들어서는 현격히 국방력이 약화되었다. 이렇게 국방력이 약화되었기에 임진왜란 때 조선군은 일본군에게 대패하고 명나라에 도움을 청할 수 밖에 없었다.

조선후기

국왕

조선/역대 국왕

경제

동시대 타 국가들에 비해 경제발전이 굉장히 지체되었으며 이는 서구 유럽 뿐만 아니라 주변의 중국, 일본과 비교해보아도 그러하다.

1592년에 발발한 임진왜란시기에 이런 문제가 두드러졌는데, 보급 능력이 떨어졌던 명나라 군대는 은화를 챙겨왔는데 아직도 소규모 물물거래 경제였던 조선사람들은 은화를 받질 않아, 명나라 군대가 조선 백성들을 약탈하는 지경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그로부터 백년가량 지난 1678년 숙종때에 이르러 상평통보가 주조되었으며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1] 18세기 가까이 되어서야 겨우 물물경제를 탈피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금속화폐의 보급에도 불구하고 타국에 비해 상공업 발전은 매우 미약하였으며, 이에 대한 서술은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저서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연암 박지원은 그의 저서 <열하일기>에서 벽돌을 사용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박제가는 저서 <북학의>에서 도로를 닦아 수레를 사용할 것을 주장했다. 이러한 서술로 조선은 수레가 다닐 수 있는 도로조차 없는 미개국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초적인 사회간접자본의 부재로 상업과 공업도 발달하지 못했다는 예측이 가능하다.

조선의 경제 발달이 이처럼 미약했던 것은 상공업을 천시하던 성리학적 사고방식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사유재산제나 그 외의 기술개발과 기업가 정신의 발흥이 불가능하도록 만드는 관존민비(官尊民卑) 정치 및 행정 시스템에도 원인이 있을 것이다. 또한 조선이 존속하던 시대는 서구에서 대항해시대로 세계가 점점 가까워지며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발생하여 생산능력이 급증하던 시기인데, 조선은 이 시기에 공맹 사상이나 곱씹고 무의미한 성리학적 논쟁으로 허송세월 했기에 한반도는 다른 지역에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도 크게 뒤쳐져 결국 일본의 식민지가 되며 지금까지도 그 후유증에 시달리게 된다. 이런 점을 생각해보면 조선 500년은 잃어버린 500년이라 할 만하다.

생활수준

경제적으로 뒤쳐졌기에 생활수준도 매우 뒤떨어졌다. 이는 조선 말기 외국인들의 저서에도 흔히 드러난다.

역사적 미화

일본의 침략으로 멸망한 국가이기 때문에(물론 1897년부터 1910년까지는 대한제국이였다. 하지만 13년에 불과한 기간동안 조선이란 국호가 더 많이 쓰였다) 민족주의 진영과 좌익진영은 조선왕조를 미화하는데 많이 움직인다.

구한말 삼정의 문란과 세도정치 등 국력을 약화시킨 원인이 있음에도 마치 모든게 일본때문이고 조선왕조가 백성들을 선하게 다스리고 있었는데 일본이 와서 백성을 억압했다는건 1차원적이다.

조선의 멸망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