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경태 | |
![]() | |
국적 | ![]() |
성별 | 남성 |
출생일 | 1968년 1월 10일 (56세) |
본관 | 함안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상등병 소집해제 |
의원 선수 | 5 |
의원 대수 | 17, 18, 19, 20, 21 |
지역구 | 부산 사하구 을 |
정당 | 국민의힘 |
소속 위원회 | 교육위원회 |
학력 | 경남고등학교 졸업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 학사, 석사, 박사 |
웹사이트 |
조경태(1968년 1월 10일, 56세)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5선(17, 18, 19, 20, 21)의 국회의원(부산 사하구 을)이다. 소속은 국민의힘 국회의원으로 교육위원회 위원이다.
국회의원 3대 적폐 주장
2023년 1월 11일 고성국TV에 출연하여 새로운 당대표 출마의사를 밝히며 국회의원의 적폐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1. 국회의원 수 축소
현재의 300명은 너무 많다. 비례대표라도 없애버려야 한다. 이석기, 윤미향같은 자들도 들어올수 있는 구조이다. 미국 기준으로 하면 84명이면 된다. 그런데 야당에서는 비례대표 의원 60명을 더 늘리려고 한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연급개혁, 노동개혁, 교육개혁을 통해서 고통을 분담하자 하는데 정치권에서는 아무런 고통을 분담하지 않으려 한다. 국회의원 정수를 20%는 더 줄여야 한다.
대한민국 헌법에는 200명이상으로 되어 있다.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 국회의사당을 만들때 통일을 감안해서 정원300명을 기준으로 만들였던 것인데 벌써 300명으로 만들었다.
- 2. 면책특권, 불체포특권 폐지
국회의원들은 면책특권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거짓말(가짜뉴스)을 없애야 한다. 특히 김의겸같은 사람이 나오지 않게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 3. 국고보조금이 많다.
정당 국고보조금이 2020년 기준으로 900억이다. 그런데 20여년간 정당 국고보조금에 대하여 감사를 하지 않고 있다. 최근 윤석열 정부가 노조사무실에 지원한 보조금에 대하여 감사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려고 하는데 정당에 대해서도 같은 언급을 해야한다. 작년에 조경태의원은 감사원장에게 정당에 대해서도 감사를 하가고 이야기 한적이있다.
정치행보
좌파에서 우파정당으로
좌파성향의 정치인으로 1996년 통합민주당에서 정치를 시작하였다. 이후 합당으로 한나라당 소속으로 있었다. 이후에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통합민주당, 민주통합당을 거처서 새정치민주연합의의 최고위원에 올랐다.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이 바뀐 후 2015년 문재인 대표와 갈등을 빚다가 징계를 받고 무소속으로 활동하였다.
이 후 중도 우파적인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국민의힘의 국회의원으로 촤고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태원 사고관련 이상민 사퇴 발언
당내에서도 강성 발언을 하는등 소신발언을 하는 정치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태원 압사 사고가 일어난 직후 책임소재 파악을 하기도 전에 더불당에서는 이상민 행안부 장관을 해임하라는 압박을 강도높게 비판하고 나서며 윤석열 정부가 최대고비를 맞고 있을 때 일성으로 이상민 장관 해임발언을 해 비판이 일었다. 정권의 위기가 닥쳤을 때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더불당 국회의원과는 다르게 정권을 방어해도 부족할 판에 더불당의 편에서 윤석열 정부를 비판하였다는 것이다.
- 與 중진 조경태 “행안부·교육부 장관 사퇴해야” 2022.08.02. 문화일보
주요 발언
- 조경태 "권성동 술 마시고 징계 없어"이상민 "권성동·윤핵관 책임지고 물러나" 2022.8.29 YTN
경력
- 다대어민회 명예어민
- 명예택시기사
- 을숙도대교 통행료인하 추진위원장
- 신평-장림-다대지하철 추진위원장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 사하구청년연합회 고문
- 대한민국 국회의원
- 열린우리당 원내수석부대표
- 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
- UST 초빙교수
- 민주통합당 정책위 부의장
-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
- 새누리당 인재영입위원장
-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
- 자유한국당 수석최고위원
- 미래통합당 수석최고위원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
통합민주당 | 1996 - 1997 | 정계 입문 |
한나라당 | 1997 - 2000 | 합당 |
무소속 | 2000 | 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탈당 |
새천년민주당 | 2000 - 2003 | 입당 |
무소속 | 2003 |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 |
열린우리당 | 2003 - 2007 | 창당 |
무소속 | 2007 | 대통합민주신당 합류를 위한 탈당 |
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창당 |
통합민주당 | 2008 | 합당 |
민주당 | 2008 - 2011 | 당명 변경 |
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
민주당 | 2013 - 2014 | 당명 변경 |
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창당 |
더불어민주당 | 2015 - 2016 | 당명 변경 |
무소속 | 2016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새누리당 | 2016 - 2017 | 복당 |
자유한국당 | 2017 - 2020 | 당명 변경 |
미래통합당 | 2020 | 창당 |
국민의힘 | 2020 - 현재 | 당명 변경
|
논란
빈문단 입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둘러보기
ㄱ |
|
ㄹ ㅂ |
|
ㅅ |
|
ㅇ |
|
ㅈ |
|
ㅊ ㅌ |
|
ㅎ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