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에 대해 무엇이 궁금한가요? →
김일성 관련 표제어 보기
김일성 (생애전반) 김일성 가짜설 가짜 김일성 관련 기록과 증언
김일성 관련 원천사료 목록 김일성이 사용한 이름 김일성 진짜론 반박
김일성의 실체 김일성 (동명이인) 고동뢰 소대 참살사건
김일성 (6사장) 보천보사건 간삼봉 전투
혜산사건 동북항일연군 《국경의 비적수괴 김일성 회견기》
《애국지주 김정부(金鼎富)》 《국경경비진 주파기》 《김일성 부대의 양민 약탈 일지》
《비수 김일성의 생장기》 민생단 사건 전설의 김일성장군 관련 해방전 기록
김일성의 소련 행적 김정일의 출생 소련군 88여단
극동의 소련군 소련의 만주와 북한 침공 북한의 소련 군정
「푸가초프」호 동진공화국 조각명단 해방정국 지도자 지지율
해방직후 북한 상황 북한 초대 내각 북한의 친일파 청산
남북분단의 현실화 과정 북한정권 감시기구 《특경부》 6.25 남침
《김일성 1912~1945》 (서평) 김일성(金一成, 1888~1926) 김정일 생년
김형직 (부친) 강반석 (모친) 김형권 (삼촌)
김혜순 (전처) 김정숙 (처) 김슈라 (차남)
김영주 (동생) 백두혈통 김일성 영생교
푸가초프호(Pugachev 號)

푸가초프호(Pugachev 號, 정식명칭 Emelyan Pugachev, Емелья́н Пугачёв)는 소련의 군용 화물선이다. 1943년 미국의 오리건 조선회사(Oregon Shipbuilding Corporation)에서 건조하여 소련에 임대하였다.

8.15 해방 직후 88여단진지첸 대위(김일성) 일행이 블라디보스톡을 출발하여 1945년 9월 19일 원산항으로 입북할 때 타고 온 배이다.[1][2][3]. 미제를 원수처럼 여기는 김일성이 해방 후 북한에 처음 들어올 때부터 미국이 건조한 배를 탔다는 것은 자신도 몰랐을 것이다.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때는 쿠바로 출동하였다. 1977년 폐선되었다.

건조할 당시의 처음 이름은 Louis Agassiz였다.

참고 자료

665 Louis Agassiz EC2-S-C1 1624 9 24-Mar-43 13-Apr-43 21-Apr-43 20 8 28 To Russia 1943 as Emilian Pugachev, scrapped 1977


각주

  1. 유성철(兪成哲, 1917-1995) 전 조선 인민군 총참모부 작전국장겸 부참모장 pp.18~19 : Biographies of Soviet Korean Leaders - 숙청된 고려인 가족 80인의 육필수기 : 미의회도서관
  2. "「蘇軍(소군)대위 金日成(김일성)」元山(원산)까지 수송" 45년 당시 蘇(소)해군중위 니주니코프 證言(증언) 1992.08.30 동아일보 4면
  3. 김일성의 정확한 입북 경로와 일자는 구 소련 붕괴 후에 알려졌다. 하지만 미군의 1952년 7월 기록에 소련서 훈련받은 김일성 등 조선인 그룹이 1945년 9월 25일 원산항으로 들어왔다고 비교적 정확히 기록해 놓았다 : HISTORY OF THE NORTH KOREAN ARMY (Headquarters, Far East Command, Military Intelligence Section, General Staff, 31 July 1952) 원문 p.9, (pdf p.22)
    (2) Arrival of Soviet-trained "Yashki" Group: On 25 September 1945, KIM Il Sung and a group of Soviet-trained Koreans were landed at Wonsan. These people, formerly guerrillas against the Japanese along the Manchuria-Korea borders, were assigned to various advisory capacities in the several provincial governments. Although they had received considerable training under the Soviets, their educational level was generally not high end their main mission in Korea was supervision of the police forces of the Provincial Police Burea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