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에 대해 무엇이 궁금한가요? →
김일성 관련 표제어 보기
김일성 (생애전반) 김일성 가짜설 가짜 김일성 관련 기록과 증언
김일성 관련 원천사료 목록 김일성이 사용한 이름 김일성 진짜론 반박
김일성의 실체 김일성 (동명이인) 고동뢰 소대 참살사건
김일성 (6사장) 보천보사건 간삼봉 전투
혜산사건 동북항일연군 《국경의 비적수괴 김일성 회견기》
《애국지주 김정부(金鼎富)》 《국경경비진 주파기》 《김일성 부대의 양민 약탈 일지》
《비수 김일성의 생장기》 민생단 사건 전설의 김일성장군 관련 해방전 기록
김일성의 소련 행적 김정일의 출생 소련군 88여단
극동의 소련군 소련의 만주와 북한 침공 북한의 소련 군정
「푸가초프」호 동진공화국 조각명단 해방정국 지도자 지지율
해방직후 북한 상황 북한 초대 내각 북한의 친일파 청산
남북분단의 현실화 과정 북한정권 감시기구 《특경부》 6.25 남침
《김일성 1912~1945》 (서평) 김일성(金一成, 1888~1926) 김정일 생년
김형직 (부친) 강반석 (모친) 김형권 (삼촌)
김혜순 (전처) 김정숙 (처) 김슈라 (차남)
김영주 (동생) 백두혈통 김일성 영생교
제88독립보병여단(88-я отдельная стрелковая бригада) 기
1943년 10월 5일 야전 훈련 후 촬영한 88여단 대원 사진[1] . 제1열 좌로부터:바탈린( N. S. Batalin, 巴達林, 소련), 정치 부여단장 이조린(李兆麟, 일명 張壽籛[张寿篯], 중국), 왕일지(王一知, 주보중 부인), 여단장 주보중(周保中, 중국), 김일성(金日成, 제1영장, 조선), 부여단장 시린스키(Timofei Nikitovich Shirinsky, 什林斯基, 1904~?)。제2열:장광적(張光迪, 중국), 풍중운(馮仲云, 중국), 왕효명(王效明, 중국), 왕명귀(王明貴, 중국), 팽시로(彭施魯, 중국)。제3열:양청해(楊淸海, 중국), 서철(徐哲, 조선), 강신태(姜信泰, 강건, 조선), 김광협(金光俠, 조선), 수장청(隋長靑, 중국)。제4열 : 안길(安吉, 조선), 박덕산(朴德山, 조선), 최용진(崔勇進, 조선), 도우봉(陶雨峰, 중국), 김경석(金京石, 조선)

제88독립보병여단(第88獨立步兵旅團, 88-я отдельная стрелковая бригада, 88th Separate Infantry Brigade)[2], 약칭 88여단(88旅團)은 일본군의 토벌에 쫓긴 만주의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 Northeast Anti-Japanese United Army) 잔존 세력이 소련의 극동지방으로 도피하여 오자 이들을 수용하여 1942년 7월에 소련 극동전선군 산하에 만들어진 중국인, 조선인, 소련인, 나나이족 등 다민족의 혼성부대이다.


남야영(南野營)과 북야영(北野營)

만주서 일본군의 토벌에 쫓기던 동북항일연군 잔존세력은 1939년 ~ 1941년 초 기간에 모두 소련으로 도피한다.

김일성은 직속상관인 1로군 총사령 대행 위증민(魏拯民, 1909~1941)의 허락도 받지 않고 갓 결혼한 아내 김정숙과 함께 부하 몇명을 데리고 1940년 10월 23일 소만국경을 불법월경하여 소련으로 도주하였다[3]. 소련으로 망명해온 항일연군들은 보로쉴로프(오늘날의 우수리스크) 근처의 남야영(南野營, B 야영, Южный лагерь, «лагерь В»)과 하바로프스크 인근 뱌츠코예(Vyatskoye, Вятское) 마을의 북야영(北野營, A 야영, Северный лагерь, «лагерь А») 두 곳에 분산 수용되는데 김일성은 남야영에 들어간다.[4] 거기서 김정일이 1941년 2월 16일 태어났다.[5][6]

1937년 작성된 일본군의 지도에 나오는 남야영(南野營, B 야영)이 있었던 소련 연해주의 하마탄 (Хаматан, Hamatan, 蛤蟆塘). 오늘날의 라즈돌노예(Раздольное, Razdol'noye)이다. 지도에 일본어로는 蛤蟆塘 위에 ラズドリノエ(라즈도리노에), 아래에 ハマタン(하마탄)이라 쓰여 있다. (우에서 좌로 읽음) 하마탄 북쪽의 쌍성자(双城子)는 당시 지명으로는 보로실로프(Вороши́ло, Voroshilov)이고, 오늘날의 우수리스크(Уссурийск, Ussuriysk)이다.

남야영은 보로쉴로프 근처 조그만 기차역이 있는 하마탄 (Хаматан, Hamatan, 蛤蟆塘)이란 마을에 있었다고 하는데, 블라디보스톡과 우수리스크 중간쯤에 있는 오늘날의 라즈돌노예(Razdolnoye, Раздольное) 마을이다.[7][8][9]

남야영(南野营)은 블라디보스톡(海参崴)과 우수리스크(雙城子) 사이에 있는 작은 기차역(小火车站) 부근의 현지인들이 하마탕(蛤蟆塘)이라 부르는 곳에 위치했다. (南野营位于海参崴与双城子之间的一个小火车站附近,当地人称蛤蟆塘。/ 南野營位于海參崴與雙城子之間的一个小火車站附近,當地人稱蛤蟆塘。)[9]

《주보중전(周保中傳)》에 다음과 같이 나온다.[10]

항일연군(抗日聯軍) 대원들은 임시로 설치된 남북야영(南北野營)에 갈라져 주둔하고 있었다. 북야영(北野營, A야영)은 하바로프스크 북방(北方) 75㎞ 떨어진 흑룡강변(黑龍江邊, 아무르강변) 비야츠크(中國名 費雅斯克)란 마을에 설치했으며 한인(韓人)으로서는 강신태(姜信太, 강건)·이경호(李京鎬) 등이 여기에 배치되어 임시당부(臨時黨部)의 서기(書記)와 선전위원(宣傳委員)을 맡고 있었다.[註 022] 한편 남야영(南野營, B야영)은 울라지오스토크(블라디보스토크)와 울라스노프(보로실로프, 지금의 우스리스크, 中國名 雙城子) 사이의 작은 기차역 부근 하마탄(蛤螞塘)이란 곳에 자리잡고 있었다. 김일성(金日成)·안길(安吉)·박덕산(朴德山, 김일[金一])·김윤호(金潤浩)·최현(崔賢) 등 한인(韓人)들도 군(軍) 및 당부(黨部)의 요직을 내정(內定)받고 있었다.[註 023]

[註 022] 劉文新·李毓卿, 《周保中傳》 (哈爾濱:黑龍江人民出版社, 1986) p.266
[註 023] 위와 같음.

김정일이 태어난 집은 라즈돌노예 마을길 (Lazo St.) 88번지(2층 빨간벽돌집)로 기차역 부근이며, 지금도 남아있어 연해주 관광객들의 관광 코스로 되어 있다. 라즈돌노예 기차역은 스탈린이 1937년 연해주 한인들 17만여명을 중앙아시아로 강제로 실어나르던 출발지로, 고려인들의 한이 맺힌 곳이다.


김일성 인솔 소부대의 만주 파견

소련으로 넘어 온 항일연군 잔존 세력의 총 지휘관은 2로군 총사령이었던 주보중(周保中, 1902-1964)이었다. 그는 만주에 남아 있는 1로군 총사령 대행 위증민(魏拯民, 1909~1941)을 찾아서 데려올 목적으로 김일성이 인솔하는 대원 28명을 만주로 파견한다. 이들은 1941년 4월 10일 출발하여 1941년 11월 12일에 소련으로 돌아왔다.[11][12] 주보중은 이들에게 들려보낸 위증민에게 보내는 편지에 김일성이 상관의 허락도 없이 무단 이탈하여 소련으로 넘어와 군기를 심각하게 위반했으므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하였다.[3][13]

『그 어떤 곤란과 원인이 있든 김일성. 이준산(伊俊山) 두 동지 소속부대원들이 소련 국경을 넘은 것은 오류다. 이 오류가 비록 전반적 혁명입장이 동요되었거나 총적 방향을 잃어버린 것은 아니지만 직접적으로 제1로군 총부대를 이탈하고 유격대가 투쟁을 유지할 수 있는 가능한 조건을 포기한 것이다. 또 전반 환경을 이해하지 않고 충분한 준비를 하지 않았으며 곤란을 극복할 방법을 더 많이 생각지 않고 기회주의적 성격인 월경방법을 취한 것이다. 이는 용서할 수 없는 일이다.
김일성과 그 부하들 및 당간부들이 각성하고 그 오류를 비록 승인하기는 했지만 기율상에서 김일성 동지등에게 적당한 처벌이 있어야 한다. 당신이 적당한 처분을 주기 바란다.』

하지만 위증민은 이들이 만주로 출발도 하기 전인 3월 8일에 사망하였고[14], 파견원들은 이러한 사실도 확인하지 못한 채 위증민의 행방을 찾는데 실패하고 돌아왔다. 김일성은 군기위반에 대한 처벌권이 있는 직속 상관 위증민이 사망한 덕에 위기를 모면했다.

김일성은 만주 파견 기간 중 8월 10일 ~ 9월14일 간에 소련으로 돌아와 보고를 하고 다시 만주로 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래는 당시 김일성이 인솔했던 만주 파견대원 28명의 명단이다.[11]

김일성이 인솔했던 만주 파견대원 28명의 명단.
金日成率領的第一小部隊, 共有 28 名隊員: 朴德山(金一)、柳三孫、董崇斌[15]、金鐵宇、林春秋、劉玉全、全文涉、徐寶仁、李伍松、李斗益、金益顯、崔仁德、李煥仁、孫宗俊、金明俊、武良本、牟子河、李致浩、金洪洙、張興龍、李正涉、金福祿、金庚勛、陳寶山、朱明增、池甲龍、宋魁信、連合東

②《中共滿洲省委文件》:《1941年 B野營被派遣各分隊之名單》。

김일성이 1941년 9월 30일자로 주보중과 김책에게 올린 만주 정찰활동 결과 보고서가 있다.[16]

주보중, 김책에게 보내는 김일성의 서한 (번역문) : 1941년 9월 30일

당시 일본측도 소련으로 도주한 김일성 등이 쌍성자(双城子) 즉 보로실로프(ウオロシロフ, 오늘날의 우수리스크) 병사에 수용되어 있고, 그들이 만주로 정찰을 나왔다는 것까지 파악하고 있었다.

  •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B02032038500、満州国政況関係雑纂/治安情況関係(A-6-2-0-2_8)(外務省外交史料館)」
標題:5 昭和16年4月18日から昭和16年6月11日 (1941년)
p.24 김일성, 최현, 시세영 입만. 김일성, 최현, 시세영, 안상길 등 - 쌍성자(双城子) 병사에 백사오십명 수용 되어 있음. 김일성은 교관으로 교련중 중국역사, 반일가 가르침. 김일성의 선발대 28명 1개월 전 입만(入滿).
p.33 오른 쪽 김일성, 최현, 시세영 첩보, 모략 목적으로 입만(入滿).
p.43 : 1941년 6월 11일 목단강 영사대리 후루야 카츠마사(古屋 克正)가 만주국 일대사에게 보고 - 동녕지방 사상대책 월보 5월분
p.45 : 5월 15일 훈춘에서 김일성 부하 주명증(周明增, 28세) 체포
입소중인 김일성, 시세영 비단 1백 4~5십명이 보로쉴로프(ウオロシロフ)에 수용되어 있고, 김일성이 교관.
- 4월 초순 김일성 이하 28명 입만.

88여단의 창설

소련군 88여단 시절의 김일성과 동료들. 왼쪽부터 김일성(金日成), 계청(季靑, 중국인), 최현(崔賢), 안길(安吉). 북한은 이 사진을 연속 조작하는데, 처음에는 중국인 계청만 삭제했다가 다음에는 김일성을 가운데로 이동시키고 오른 쪽으로 기울어진 자세도 바로세웠다. 계청은 1943년 9월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어 시베리아 강제노동형을 받게 되므로 그 이전의 사진이다. 김일성은 88여단에서 동료 빨치산들의 동태를 감시하여 소르킨 소장에게 보고하는 프락치였으므로[17], 계청의 시베리아 유형과, 4대대 영장 시세영(柴世榮)이 스파이 혐의를 받고 실종된 사건도[18] 그와 무관하지 않을 수 있다.

1942년 7월 하바로프스크 인근 북야영에 남북야영의 만주 빨치산들을 수용하는 88여단이 창설되면서 김일성 가족은 남야영을 떠나 뱌츠코예(Vyatskoye, Вятское) 마을로 이주한다.[19]

88여단을 중국인들은 동북항일연군교도려(東北抗日聯軍教導旅)라 불렀으며, 여단장은 중국인 주보중(周保中, 1902-1964)이었다. 그러나 부대의 운영을 실제로 관할하는 사람은 주보중의 상관인 왕신림(王新林)[20]이란 중국식 암호명으로 불리던 소련 극동전선군 정찰국장 나움 소르킨(Naum Semyonovich Sorkin, 1899~1980) 소장이었고, 정찰부국장은 미하일 안쿠지노프(Mikhail Ankudinov, 1905~1974) 대좌였다. 극동전선군의 사령관은 88여단 창설 당시는 아파나셍코(Iosif Apanasenko) 대장이었으나 1943년에 막심 푸르카예프(Maxim Alekseevich Purkayev, 1894~1953) 대장으로 바뀌었다.

부대는 극동전선군 사령부가 있는 하바로프스크에서 동북쪽으로 70km 가량 떨어진 아무르 강변의 뱌츠코예(Вятское) 마을에 있었으며, 일본이 항복한 후인 1945년 9월 중국인과 조선인들이 본국으로 귀환하면서 해체되었다.

1940년 10월 23일 만주에서 소련으로 도주하여 남야영에 수용되었던 북한 김일성도 88여단 창설 당시부터 이 부대에 소속되어 100여명 정도를 통솔하는 1대대 영장(대대장)으로 있었으며, 계급은 대위(Капитан, Captain)였다. 모두 4개 대대(敎導營)가 있었는데, 왕효명(王效明, 중국인), 허형식(許亨植, 1909 ~ 1942), 시세영(柴世榮, 중국인)[21]이 역시 대위계급으로 2, 3, 4 대대 영장(營長)을 나누어 맡았다.[22]

항일연군은 반만항일(反滿抗日)을 목표로 한데 비해 소련은 정반대로 만주국(滿洲國, Manchukuo)을 승인한 몇 안 되는 나라들 중 하나이고[23][24], 1941년 4월에는 일본과의 충돌을 방지하려고 일소중립조약(日ソ中立条約)을 맺기도 했다[25][26]. 소련은 2차대전 당시 유럽전선에서 싸우는 동안 극동에서 일본과의 충돌을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당면과제였다. 그래서 연해주에서 항일투쟁 하던 조선인들 때문에 일본과 충돌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고려인 지도자 2천여명을 처형하고 17만명을 중앙아시아로 추방하는 고려인 강제이주까지 단행하였다.

하지만 항일연군을 수용한 이유는 장차 있을 지도 모를 일본과의 전쟁 또는 전후 처리 과정에서 이들은 활용 가치가 있었기 때문이다. 소련은 이런 식으로 필요에 따라 조선인(고려인)들의 항일 활동을 탄압하기도 하고, 적절히 이용하는 방안을 택하기도 했다. 반만항일을 내세웠던 항일연군 잔존세력이 만주국을 승인하고 일본과 중립조약을 맺은 소련으로 피난처를 찾은 것은 이들의 애초목적이 반만항일 자체보다 공산혁명이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88여단 구성원

88여단의 인원 수는 계속 변동이 있었다. 창설 당시 인원은[27]

중국인 373명, 조선인 103명, 나나이족 316명, 로시안인 462명, 기타 100명 등 총 1,354명(장교 149명, 하사관 358명, 병사 847명).

88여단 위치

88여단 사진과 배치도

88여단 소재지 뱌츠코예 마을 영상

김정일의 출생지가 하바로프스크 동북쪽 70여 km 떨어진 아무르강가의 비야스크(뱌츠코예) 마을이라 하고 있으나, 잘못 안 것이다. 뱌츠코예에서는 김정일의 동생 김슈라가 태어났다.
뱌츠코예 마을의 김일성이 살았다는 집과 묘지도 잠간 나온다.
뱌츠코예에는 김일성88여단 시절 깊이 사귀었다는 한 여인의 무덤이 있다고 황장엽이 증언했다는 말도 나온다.

88여단의 밀고자들

소련인들은 88여단의 중국인들과 조선인들을 신임하지 않았으므로 그들 사이에 동태를 감시해서 보고하는 밀고자들을 심어 두었다. 밀고자들 중 일부는 비밀 NKVD 요원이 되었는데, 표면적으로 1대대 영장이었던 김일성도 비밀 요원 중 한 명이었다.[29]

1943년 9월 4대대 영장 시세영(柴世榮, 1894~ ?)[30]과 정치위원 계청(季青, 1911~1988)[31]이 체포되어 강제노동형에 처해졌는데, 공식적으로는 스파이 혐의를 받았다. 하지만 이들이 실제로 스파이 행위를 했을 가능성은 거의 없으므로 아마도 사석에서 소련이나 소련군 상관들에 대해 비판적인 발언을 한 것을 김일성과 같은 비밀 요원들이 밀고하여 처벌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계청은 13년 시베리아 강제노동형을 받아 형기를 마친 1956년 중국으로 돌아왔다고 하나, 시세영은 15년 형을 받고, 실종되었는데 형기 중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과 함께 처벌 받은 사람들 중에는 조선인 김윤호(金潤浩)[32][33]도 있다.

88여단장 주보중(周保中, 1902~1964)의 『동북항일유격일기(東北抗日遊擊日記)』에 이 사안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34]

柴、季問題, 原東北抗日聯軍第五軍軍長柴世榮和政委季青, 在抗戰後期仍率領抗日遊擊小部隊活動於東北抗日戰場上。1943年秋· 他們到達蘇聯境內的 東北抗日聯軍教導旅駐地時, 即被蘇聯紅軍遠東方面軍司令部有關部門扣壓、柴世榮同志至今下落不明 季靑同志與朝鮮金潤浩同志被流放到西伯利亞。強制勞動達13年。季青同志于1956年回國。

김윤호(金潤浩)는 만주에서 항일연군 제2로군의 제5군 소속으로 주보중(周保中) 군장(軍長), 시세영(柴世榮) 부군장(副軍長) 아래 비서로 있었고,[35] 『동북항일유격일기(東北抗日遊擊日記)』 여러 곳에 이름이 나온다. 1942년 초에는 남야영에서 시세영과 함께 만주로 정찰나가는 파견조의 간부로 임명되기도 했다.[36] 88여단에서 시베리아 강제노동 13년형에 처해진 후의 소식은 알 수 없다.

88여단의 조선인

1947년 6월 21일 김일성의 고향집 만경대를 찾은 김일성과 빨치산 동료들. 앞줄 왼쪽부터 리지찬, 리을설(李乙雪, 1921~2015), 강상호, 안길(安吉, 1907~1947) 등의 모습이 보이고, 김일성 오른쪽 여자 아이 뒤에 오백룡(吳白龍, 1913~1984) 전 노동당 군사부장이 6세의 김정일을 안고 있다.[37]

88여단 소속 만주 빨치산 출신 조선인들은 60여명이었으며, 이들은 해방 당시 국내에 아무 기반도 없고 지지세력이 전무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을 점령한 소련군 등에 업혀 들어와 북한의 핵심 권력층이 되어 권력을 자손들에게까지 세습한다. 이들은 거의 모두가 만주서 출생했거나, 어릴 때 만주로 가서 성장한 탓에 중국에 거의 동화된 의식 구조를 가졌고, 자신들끼리 대화도 중국말로 할 정도로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도 희박했다.[38] 한자로 된 이름도 러시아어로 적을 때 모두 조선 발음 아닌 중국 발음으로 표기하였으며, 김일성은 한자 金日成의 중국발음 진지첸(Цзин Жи Чен, 또는 Цзин Жичэн, Jing Zhichen)으로 적었다.[39][40][41][42] 해방 당시 김일성도 중국말에는 능했지만 조선말은 심하게 더듬거렸다는 증언이 많다.[43][44]


이들은 만주에서는 중국 공산당에 가입하여 중공당원으로서 만주 적화를 위해서 투쟁했을 뿐 조선독립운동을 했다고 볼 수 없다. 소련에서는 해방전 5년간 아무런 항일투쟁도 한 바 없으며, 소련인들의 목적에 맞는 교육과 훈련을 받았을 뿐이다. 국내에 지지세력이 전무했기 때문에 소련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처지에 있었던 것이 소련이 이들을 권력 전면에 내세운 이유이다. 독자적 생존력이 있는 집단은 소련의 말을 잘 듣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평균 학력 초등 3학년 정도의 무식한 집단

이들 대부분은 소학교 중퇴자이며, 중등교육 수준 이상의 학력을 갖추었던 사람은 중학 중퇴자인 대위 김일성 외에 대위 최용건, 대위 안길, 대위 김책, 중위 서철, 상조 임춘추 등의 6인 뿐이고, 그 외 54인의 평균학력은 소학교 3학년이다.[40] 최현(崔賢, 1907 ~ 1982)은 한글도 쓸줄 모르는 무학자였다. 이런 저학력자들이 공산주의 이론을 제대로 이해할 수도 없었을 뿐더러, 당시 만주의 분위기에 휩쓸려 산야를 숨어다니며 게릴라전을 벌인 경력 밖에 없어 성격도 거칠었기 때문에 국가를 통치할만한 자질이 애초에 결여되어 있었다. 이런 사람들이 북한의 핵심 권력층이 되어 오늘날과 같은 꼴의 나라를 만든 것이다.

인민군 소장으로 있다 숙청되어 10년간 징역형을 살고 중국으로 탈출한 강수봉(필명 呂政)은 이들 집단의 성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45]

만주항일연군에 소속돼 중국공산당의 지도를 받았던 항일 빨치산들은 소련(蘇聯) 땅에 쫓겨갈 때까지 극좌노선의 지배를 받을수 밖에 없었다. 그들에게는 공부할 기회가 전혀 없어 정치이론을 배우지 못했을 뿐 아니라 소학교 교본조차 보지 못했다. 소련(蘇聯) 땅에 들어가 있는 5년동안 소련(蘇聯) 공산당 역사와 레닌주의 제문제를 배우기는 했지만 무슨 뜻인지 알아듣지 못했다. 그들이 보고 접촉한 것은 전쟁에서 거칠어질대로 거칠어진 사람들 뿐이었다. 그 5년 동안에 항일 빨치산들 속에는 소련(蘇聯) 안전기관의 비밀정보원이 생겨나고 서로 감시하고 의심하는 악랄한 분위기가 팽배했다.

정치(政治) 몰라 비극심화

항일빨치산들의 그런 공통적인 특징은 오랜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이다. 적개심만 있을뿐 정치가 무엇인지 모를 뿐 아니라 실천경험이 없고 극단적 좌경노선을 그대로 갖고있는 이들에게 국가통치의 대권(大權)이 부여됨으로써 북조선의 비극은 심화됐던 것이다.

소련(蘇聯) 안전기관은 KGB (국가보안위원회, Committee for State Security)를 말하며, 당시의 명칭은 그 전신인 내무인민위원회(NKVD)였다.


북한은 어떻게 문맹자의 천국이 됐나. 까막눈들이 만든 기막힌 세상 북한의 뿌리를 찾아서 주성하TV 2021. 9. 26.

김일성이 북한 지도자로 발탁된 배경

한편 김일성은 동료 빨치산들의 동태를 감시하여 소르킨 소장과 극동전선군 사령관 푸르카예프 대장에게 보고하는 NKVD (KGB 전신) 비밀 요원이었다. 이로 인해 상관들의 신임을 얻어 그들의 강력한 추천을 받은 것이 1945년 9월초 스탈린이 김일성을 북한 지도자로 발탁한 배경이다.

적기훈장(赤旗勳章) 수여

귀국에 앞서 김일성은 88여단의 다른 간부들 몇명과 같이 1945년 8월 29일에 적기훈장(赤旗勳章, Орден Крaсного Знамени)을 수여받았다. 이들은 전쟁에 참여한 적도 없지만 본국으로 데려가 이용하려면 대단한 전공이 있는 것처럼 포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이 훈장이 김일성이 10월 14일 평양의 대중앞에 처음 나서던 날 가슴에 달고 나온 것이다.]

[1945년] 8월 28일에는 제2극동방면군사령관 푸르카예프(Maksim A. Purkaev)의 명령으로 88독립보병여단 관계자들에게 적기훈장(赤旗勳章)이 수여되었다. 적기훈장을 수여받은 사람은 부여단장 이조린 등 중국인 4명, 정치부장 셀레긴과 참모장 치린스키의 소련인 2명, 그리고 한국인은 김일성, 김책, 안길, 강건(姜健: 姜信泰) 4명이었다. 이상하게도 최용건의 이름은 빠져 있다.[46]

북한 진입과 핵심 권력층 부상

김일성 일행이 1945년 9월 19일 원산항으로 입북할 때 탔던 푸가초프호(Pugachev 號)

88여단에는 만주 빨치산 출신 조선인들 외에도 유성철(兪成哲, 1917~1995), 최원(崔元), 등 소련의 고려인도 여러 명 있었다. 해방이 되자 이들 대다수는 김일성과 같이 소련 군함 푸가초프호를 타고 1945년 9월 19일 원산항으로 입북하여 평양으로 왔다[47]. 스탈린이 88여단의 김일성을 북한 지도자로 결정한 때문에 이들도 각 부처의 핵심 요직을 차지하게 된다.

원활한 북한 통치를 위해 소련군은 각 분야에 전문 지식이 있는 소련의 고려인 200여명을 5차에 걸쳐 북한에 데려 온다. 이들을 소련파라고 하는데, 88여단 출신 고려인들도 소련파로 분류된다. 북한의 권력 핵심은 만주 빨치산과 88여단을 모두 거친 빨치산파들이 장악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김일성 권력의 기반이 잡히자 88여단 출신자를 포함한 소련파들은 거의 모두 숙청 당하며, 다수는 소련으로 돌아가고, 일부는 처형 당하거나 실종되었다.[48][49][50]

김일성 등 88여단의 조선인들은 국내에 전혀 알려져 있지도 않았고, 국내 사정에도 어두운데다 아무 정치적 기반도 없고 지지세력도 없었기 때문에 해방 후 소련군이 이들을 북한으로 데려와 최고 권력을 쥐어주지 않았더라면 동북항일연군의 본거지인 만주로 가서 조선족이 되었을 사람들이다. 김일성은 공산화 된 중국에서 중공당이 그가 원하던 대로 만주의 안도현장(安圖縣長) 정도는 충분히 시켜줄 수 있었을 것이다.[51]

국내에 그 존재조차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던 김일성 등 동북항일연군과 88여단의 조선인들은 해방 후 북한의 핵심 권력층이 될만한 아무런 정당성도 없었지만 소련군의 앞잡이가 되어 그들의 일방적인 지원을 받아 북한 주민들의 주권을 강탈하고 자신들만의 왕국을 만들어 오늘날까지 세습하고 있다.

소련 지명의 각 언어별 표기

김일성이나 동북항일연군에 대해 연구하자면 여러 나라 문헌을 참고해야할 경우가 많으므로 소련 지명의 각 언어별 표기법도 알아둘 필요가 있다.

갤러리

참고 자료

김일성 측근 4인방 이력서… 北 건국 빨치산의 숨겨진 진실 조선일보 2020.01.12
[주간조선] 김일성 측근 최용건, 김책, 안길, 서철 등 4인방 수기 이력서 발견

참고 문헌

Virtual Book Project : 《World War II. Feat at the Far Eastern Frontier》
東方戰場的偉大勝利 : 紀念二戰和摧毁日本軍國主義勝利70周年
авт.-сост. А. В. Пасмурцев, Ван Цзиньлин [и др.] ; под общ. ред. С. Н. Иванченко, Пань Фулиня ; Пресс-центр ТОГУ. - Хабаровск : Изд-во Тихоокеан. гос. ун-та, 2015. - 352 с. - Книга с двойным входом на рус. и кит. яз. ISBN 978-5-7389-1766-0
(第 88 国际特别旅. 중국어 번역도 같이 있음.)
Gennady Konstantinov, Special International 88th Separate Rifle Brigade of the Far Eastern Front
- Khabarovsk: Priamurskiye Vedomosti, 2015. - 239 p. : illustration, portrait, fax; 25 cm; ISBN 978-5-8003-0350-6
Dedicated to the 70th anniversary of the victory of the Soviet and Chinese people in World War II
(谨以此书献给苏联和中国人民在第二次世界大战中取得胜利70周年)
E-library : Far East and Victory: to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BURIAL OF THE FIGHTERS OF THE 88TH SEPARATE RIFLE BRIGADE OF THE FAR EASTERN FRONT, 1942-1945
80 лет назад будущий северокорейский лидер Ким Ир Сен носил советские погоны и командовал батальоном под Хабаровском
From Batyani-Combat Commander to All-Conquering Commander : Rossiyskaya Gazeta 13.07.2022
80 years ago, the future North Korean leader Kim Il Sung wore Soviet shoulder straps and commanded a battalion near Khabarovsk

88여단 출신 고려인들의 수기

아래 미의회도서관 자료는 북한의 소련파 출신들의 수기인데, 이 중 리동화(Yi, Tong-hwa, 전 군의 총국장), 유성철(Yu, Song-ch'ol, 전 조선 인민군 총참모부 작전국장겸 부참모장), 김창국(Kim, Ch'ang-guk, 전 인민군 정찰국 부국장, 대좌) 등이 88여단 출신자들이다. 이들의 수기에 88여단 당시의 사정에 대해서도 나온다.

장학봉 외, "북조선을 만든 고려인 이야기", 서울: 경인문화사, 2006.

함께 보기

각주

  1. Геннадий Константинов, "Особая интернациональная. 88-я отдельная стрелковая бригада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го фронта (第 88 国际特别旅. 중국어 번역도 같이 있음.)" (- Khabarovsk: Priamurskiye Vedomosti, 2015; ISBN 978-5-8003-0350-6) p.114
  2. 제88독립저격여단(第88獨立狙撃旅團)으로 번역하기도 하나 정확하지 않다. 현재 러시아군의 보병여단은 ‘베호트나야 브리가다 (пехотная бригада)’라고 부르나, 1940년대에는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스트렐코와야 브리가다 (стрелковая бригада)’라고 불렀다. 따라서 현대 러시아어로 стрелковая는 저격(狙撃)의 의미가 맞지만, 88여단 정식명칭을 '저격여단(rifle brigade)'이라 번역하면 잘못이고, '보병여단(infantry brigade)'이 맞다.
  3. 3.0 3.1 (다시쓰는한국현대사) 38.만주서 소련으로 金日成의 越境 중앙일보 1995.08.01 / 종합 10면
  4. Ким Ир Сен - Википедия (러시아어 wikipedia)
  5. "金正日(김정일) 출생지는 蘇(소)「하마탄」마을" 동아일보 1992.06.13
  6. “김일성 축지법·김정은 3살에 사격을 했다니…” KBS News 2015.10.14
  7. 1937년 일본군이 작성한 지도에 나오는 연해주의 하마탄 (Хаматан, Hamatan, 蛤蟆塘) : 오늘날의 라즈돌노예(Раздольное, Razdol'noye)이다.
  8. 특별기획 김정일 ‘제1편 유라 킴 (Yura Kim)’ : 2011년 12월 22일 밤 10:00 방영
    (황호택 칼럼)유라의 탯줄을 길게 자른 조산원 엘냐 동아닷컴 2015-08-05
    라즈돌노예(Razdolnoye, Раздольное) 마을 부근 위성 사진 : 구글 맵
  9. 9.0 9.1 抗联余辉 北京日报 2014-01-14
  10. 北韓政治史硏究 序論(梁好民) > Ⅱ. 東北抗日聯軍과 金日成의 人蘇 國史館論叢 第27輯 (국사편찬위원회, 1991-11-05)
  11. 11.0 11.1 《东北地区革命历史文件汇集(1942年——1945年7月)》甲65卷 p.297 : 《东北抗联B野营一九四一年、一九四二年被派遣各分队人员名单(1944年10月13日)》中明确记载刘玉全于1941年4月10日曾随金日成的第一分队被派遣回中国,本年11月12日回到B野营。
  12. 중국인 대원 유의권(劉義權, 刘义权, 1930~?)은 당시 이름이 유옥전(刘玉全)으로, 김일성과 같은 날인 1940년 10월 23일 입소하였고, 김일성을 따라 1941년 4월 10일 만주로 파견되어 1941년 11둴 12일에 남야영으로 돌아옴. : 《西望长安》的现实版——对所谓八十八旅老战士刘义权身份的质疑 (2012-04-06)
  13. 周保中、金策 关于来X城 商讨东北党和 游击运动等 问题 给魏拯民的信(1941年 3月 12日): 《 东北地区 革命历史文件 汇集》 甲61卷 pp. 103~110 및 《周保中抗日救国文集》 (中共吉林省委党史研究室编, 吉林大学出版社), 위증민이 X城 즉 하바로프스크(Хабаровск)로 오기를 요청함.
  14. 件名標題 : 野討冬作命第19号 野副討伐隊命令 3月9日 資料作成年月日 昭和16年3月9日 (1941년 3월 9일) :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13050338200、野副討伐隊冬作命綴4/5 昭和16年1月6日~16年3月1日(防衛省防衛研究所)」
  15. 董崇彬(916—1993) 维基百科
  16. 동북지역조선인항일력사사료집 /김우종 주필 ;원인산, 림영만 부주필; (모단강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2005), 제10권 pp.266~274.
  17. 김일성#빨치산 동료들을 감시 보고하는 프락치 역할로 북한 지도자로 발탁되다. : 우남위키
  18. 88여단의 밀고자들 우남위키
  19. 소련 극동전선군 제88 독립보병여단 (蘇聯極東戰線軍第八八獨立步兵旅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주보중(周保中), 동북항일유격일기(東北抗日遊擊日記, 1991年 人民出版社) p.660 : 1942년 7월 19일자에 김일성이 어제 보로실로프에서 하바로프스크로 와서 뱌츠코예 마을 본 숙소에 머문다고 하였다. (七月十九日 金日成同志已于昨日由B城來X城 住B街本寓); B城은 보로실로프(Вороши́лов)로 지금의 우수리스크이고, X城은 하바로프스크(Хабаровск), B街는 뱌츠코예(Вя́тское)를 말한다.
  20. 왕신림(王新林)은 소르킨에 앞서 항일연군의 소련 망명 문제를 다루던 극동군 내무부장 바실리 류쉔코(Василия Люшенко, 瓦西里 留森科) 소장이 쓰던 암호명인데, 소르킨도 물려받아 같은 이름을 썼다. : Геннадий Константинов, "Особая интернациональная. 88-я отдельная стрелковая бригада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го фронта (第 88 国际特别旅. 중국어 번역도 같이 있음.)" (- Khabarovsk: Priamurskiye Vedomosti, 2015; ISBN 978-5-8003-0350-6) pp.73~74
  21. 21.0 21.1 柴世榮 百度百科
  22. 주보중(周保中), 《동북항일유격일기(東北抗日遊擊日記)》 (人民出版社, 1991年) p.658 : (1942년 7월 16일) 제1로군 인원을 기간으로 하여 교도 제1영을 편성하고, 영장은 김일성, 정치위원은 안길로 한다. [以第一路軍人員爲基干, 編成敎導第一營 營長金日成 政治委員安吉] / p.661 : (1942년 7월 22일) 김일성, 왕효명, 허형식, 시세영은 대위 계급으로 각 교도영의 영장(營長)을 나누어 맡는다. [金日成, 王效明, 許亨植, 柴世榮 軍稱號大尉 分任各敎導營營長]
  23. 만주국 - 위키백과
  24. Manchukuo - Wikipedia
  25. 소련-일본 중립 조약 - 위키백과
  26. 제2차 세계대전 과정에서 맺어진 불가침조약들 : 독재자와의 ‘不可侵조약’은 예외 없이 전쟁을 불러들였다 pub 조선 2018-11-08
  27. 김국후 (전 중앙일보 편집부국장), <9회 이승만 포럼/ 발표 요지> 평양의 소련 군정: 북한 김일성 정권은 어떻게 탄생했나 뉴데일리 2011-10-25
  28. 소군(蘇軍) 시절 김일성 거처(金日成 居處) 확인 경향신문 1991.12.04 14면
  29. 김일성#빨치산 동료들을 감시 보고하는 프락치 역할로 북한 지도자로 발탁되다. : 우남위키
  30. 시세영(柴世榮, 1894~?)
  31. 계청(季靑, 1911~1988, 중국인)
  32. 《季青、安吉、崔賢、金潤浩致周保中的信:堅決要求從野營回到東北去》(1941年5月16日),《東北地區革命歷史文件匯集·甲種本(1941.2—1941.10)》,第197—199頁。
  33. 《周保中給季青、安吉、崔賢、金潤浩、柴世榮的信》(1941年6月21日),《東北地區革命歷史文件匯集·甲種本(1941.2—1941.10)》,第273—278頁。
  34. 주보중(周保中, 1902~1964)의 《동북항일유격일기(東北抗日遊擊日記)》 (1991年 人民出版社) p.810의 주석 ①
  35. 주보중(周保中, 1902~1964)의 『동북항일유격일기(東北抗日遊擊日記)』 (1991年 人民出版社) p.141의 주석 ④
  36. 《동만항일소분대분견계획표(東滿抗日小分隊分遣計劃表) 1942년 1월 22일》, 中共延边州委党史研究所编, 『东满地区革命历史文献汇编』 上冊, (中共延边州委会党史研究室, 2000年) p.850
  37. Thae Yong-ho from regular background, wife from North Korea’s elite Aug.19,2016
    북한서 '빨치산 혈통'은 백두혈통에 이은 '진골귀족' 연합뉴스 2016-08-18
    태영호 처가는 '빨치산 오백룡'…"北 최고 특권층" SBS 뉴스 2016.08.18
  38. 해방후 귀국길에 오른 김일성 일행을 만주 무단장(牡丹江) 역에서 만났던 이기건(李奇建, 1919년 ~ ?)의 증언 : 역구내(驛構內)에 소련군장교 三(삼), 四十(사십)명 가량이 몰려있어요. 가까이갔더니 중국(中國)말로 얘기들을 하고있었는데 그 어투로봐서 한국인(韓國人)임이 틀림없었읍니다. -南北(남북)의 對话(대화) <46> 괴뢰 金日成(김일성)의 登場(등장) (5) 蘇軍(소군)과 金日成(김일성) 1972.01.25 동아일보 4면 / ["曺圭河, 李庚文, 姜聲才, 남북의 대화 (서울, 고려원 1987), 초간은 (한얼문고, 1972)]
  39. Gavril Korotkov (1925~ ) 저, 어건주 역, 스탈린과 김일성 (동아일보사, 1993) 권1 p.162.
  40. 40.0 40.1 김국후, 평양의 소련군정 (한울아카데미, 2008) pp.61~63, 제3장 제88정치여단
  41. 金日成-한국전 관련 舊蘇비밀문건 요지 연합뉴스 1992-06-16 18:15 ;
    Gavril Korotkov (1925~ ) 저, 어건주 역, 스탈린과 김일성 (동아일보사, 1993) 권1 pp.179~185
  42. 소(蘇), 6.25 남침(南侵) 비밀 문건(文件) 공개 동아일보 1992.06.17 일자 2면
  43. 金日成(김일성) 政權(정권)수립앞서「ML 주의」학습 / 당시 김일성大(대) 부총장 朴一(박일)씨가「교육」 동아일보 1991.08.14. 4면
    金日成, 정권수립 앞서 ML주의 교육받아 연합뉴스 1991-08-14
  44. 김재순 전 국회의장의 증언 : 南北(남북)의 對话(대화) (13) 老革命家(노혁명가)들의 꿈과 좌절 (13) 南北協商(남북협상)과 나 (上) 1971.10.30 동아일보 4면 / "曺圭河, 李庚文, 姜聲才, 남북의 대화 (서울, 고려원 1987), 초간은 (한얼문고, 1972)
  45. 秘話(비화) 金日成(김일성)과 北韓(북한) 前(전) 北韓軍(북한군) 師團(사단)정치위원呂政(여정) 手記(수기) <12> 1990.07.08 동아일보
  46. 和田春樹, 『北朝鮮 ─ 遊擊隊國家の現在』, (岩波書店, 1998), p. 56.
  47. [사건으로 보는 북한] 45년 김일성의 입북 NK Chosun 2002-02-15
  48. 피 와 눈물 로써 씨여진 [i.e. 쓰여진] 우리들 의 력사 (Biographies of Soviet Korean Leaders) 미의회도서관
  49. 장학봉 외, "북조선을 만든 고려인 이야기", 서울: 경인문화사, 2006.
  50. 북한서 숙청된 소련파인사 45명/유엔에 「생사확인」 청원 중앙일보 1991년 11월 16일
    인권옹호韓國聯盟(한국연맹) 北(북)숙청 蘇聯派(소련파)인사 45명 유엔등에 生死(생사)확인 청원 1991.11.18 동아일보 2면
    김국후, 평양의 카레이스키 엘리트들 (한울 아카데미, 2013) pp.251-252: <표 8.1> 6.25 전쟁 참전 후 북한에서 소련으로 돌아가지 못한 고려인 장령(장군)들과 군관들: 최원, 인민군 소장, 사상검토후 무소식
  51. 유순호, 김일성 평전 (상) (지원출판사 2017.01.25) p.224
    해방되면 안도현장(安圖縣長)이 꿈이던 김일성 자유아시아 방송 (RFA) 2017-04-14
  52. 52.0 52.1 푸틴, 2차대전 전승절 맞아 북한 '항일 빨치산'에 축전 연합뉴스 2021-05-08
    푸틴, 빨치산 생존자에 뜬금없는 축전···美보란듯 北챙긴다 중앙일보 2021.05.09
  53. 53.0 53.1 김정은·푸틴이 예우한 마지막 北빨치산 1세대 사망 뉴시스 2021-11-16